EZ EZViwe

[칼럼] 갑을문화 청산… 실천하는 윤리경영 통해 해결 해야

박종선 (사)한국기업윤리경영연구 원장 기자  2013.05.22 17:51:59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실천되지 못하는 윤리헌장은 장식품에 불과하다. 상생과 배려,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있지만 최근 대기업 임원의 비행기 승무원 폭행, 대리점 강매사태, 중소기업 회장의 호텔 지배인 폭행 등으로 불거진 '갑을관계'의 폐해는 실천되지 못하는 후진상을 잘 보여주는 사례다.

잘하고 있는 기업, 솔선하는 CEO와 임직원은 매우 안타까울 수 있다. 그러나 몸속 깊이 체화돼 실천되기까지는 갈 길이 멀다는 것을 반증한다고나 할까.

◆일그러진 갑을관계 폐해

왜 하필 갑을일까, 그러나 용어가 갑을이면 어떻고 AB면 또 어떤가? 말이 다르거나 없다고 해서 힘센 자의 횡포나 삐뚤어진 모습이 일거에 바꿔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돌이켜 보면 돈과 일방적인 힘에 눌려 불공정한 계약이나 거래, 조직운영, 사회활동에 있어 신음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는 사실이다. 관공서, 기업, 학교, 금융 등 어느 분야를 가리지 않고 갑과 을의 비정상적인 문화를 찾아보기 어렵지 않다.

이번 몇 가지 기업을 중심으로 불거진 사태를 통해 논란된 제품 밀어내기와 같은 불공정·불합리한 행위는 마땅히 시정돼야 한다. 그래서 힘없고 눈물을 흘리는 측보다는 힘있고 우월적 지위에 있는 측들이 성찰하고 실천해야 할 것이라 본다.

가야할 길이 더 멀기만 한 것 같다는 얘기다. 소위 을이 불공정행위를 호소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을 정도라면 선을 넘어도 한참 넘은 것이다. 그동안 우리는 상거래나 인간관계에 있어 공정성과 정직성을 중시하고 상대를 배려하거나 이해하고, 상대 목소리를 경청해 공생이나 상생, 상호협력을 강조해 왔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번기회에 불공정거래의 관행 근절을 위한 조사 확대, 여당은 징벌을 강화하는 법 개정을 검토하고 야당은 아예 대리점의 '밀어내기' 피해를 막기 위한 법안을 제정하기로 했다는 소식이다.

금융감독 당국 역시 금융권 '갑'의 횡포로 특징되는 불합리한 금융관행 조사에 돌입한다고 한다. 공권력의 동원으로 갑을문화를 시정하겠다고 잔뜩 목청을 돋우니 소위 갑들은 노심초사할 수밖에 없다.

계약서에 갑을이라는 용어를 없애는 기업도 늘고 있고 윤리 실천대회를 대규모로 갖는 기업도 적지 않다는 소식이다.

◆'해법' 기업 경영윤리경영

윤리경영을 재차 강조하는 기업이 최근 부쩍 늘어나고 있다. 을의 반란을 우려한 탓과 여론악화, 기업이미지의 추락, 규제를 강화하자는 정책제안도 한 요인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윤리경영이 곧 기업 경쟁력이고 가치척도라는 사실,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공헌 필요성을 몸소 체감하고 있는 최고 경영진의 의지에 기인 한 바가 매우 크다.

윤리경영은 단순히 상거래 법규나 직장내 직무규율을 지키는 것 이상의 도덕가치 준수와 실행을 요구한다. 법규와 가치관은 윤리의 동맹군이다. 기업의 윤리적 실천과제는 굳이 새삼스러운 것이 아니다.

대부분 기업들이 기업활동의 기준이 되는 윤리규범을 갖고 있으며 이해 관계자를 중심으로한 실천 매뉴얼도 잘 예시돼 있다. 갑을문화의 횡포 사례는 윤리적 경영규범을 벗어나는 것이다.

   박종선 (사)한국기업윤리경영연구 원장 = 김경태 기자  
박종선 (사)한국기업윤리경영연구 원장 = 김경태 기자
을의 목숨까지 끊게 만든 갑의 횡포는 윤리경영의 이름으로 마땅히 비난받아야 한다. 직장 내에서도 갑의 횡포에 의한 성희롱 문제가 발붙일 틈을 주지 않는 것이 윤리적 경영인 것이다. 그래서 경영자의 확고한 의지, 수범활동 못지않게 모든 구성원의 적극적인 실천이 중요한 것이다.

윤리경영은 벽걸이 장식품이 아니다. 과시적이고 홍보적인 도구로 활용되어서는 아무 의미가 없다.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이윤창출과 같은 재무적 책무뿐 아니라 조직 내부구성원, 외부 이해관계자와의 상생과 동반성장, 신뢰구축을 가능케 하는 실천적 경영으로서 의미가 돋보이는 것이다.

차제에 모든 조직 구성원들은 윤리강령과 행동매뉴얼을 숙지하고 실천의 습관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다시금 분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