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21일, 서울 을지로 기업은행 본점에는 이른 아침부터 흑·적·금 삼색의 대형 독일 국기가 드리워졌다. 태극기와 함께 외국의 국기가 내걸리는 것은 보통 국빈급 인사에 대한 예우로 받아들여진다.
![]() |
||
기업은행 을지로 본점에 독일 국기가 게양돼 눈길을 끌었다. 21일 이 같은 특별한 의전이 준비된 것은 세계적 석학이자 은행의 고문인 헤르만 지몬 박사의 방문을 환영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 임혜현 기자 |
조준희 행장은 지난 3월, 독일의 저명 경영학 연구학자인 지몬 박사를 고문으로 위촉했다. 조 행장이 특히 지몬 박사로부터 의견을 듣고 싶어한 영역은 중소기업 육성 전반에 대한 자문.
조 행장이 이 영역에서 지몬 박사를 섭외한 점은 그의 그간 연구 행보나 저술에서 일관되게 드러난 학문적 태도, 평소 소신 등에서 가장 적절한 선택이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지몬 박사는 전략 및 마케팅 분야의 권위자다. 독일 마인츠대와 빌레펠트대에서 교수로 재직했고, 런던 비즈니스스쿨과 일본 게이오대 등에서 객원교수로 활동했다. 경영전략·마케팅 컨설팅 회사인 지몬-쿠퍼 앤드 파트너스(SKP)의 설립자로 1995년 4월부터 2009년 5월까지 CEO(최고경영자)직을 수행하는 등 실무 경력도 갖췄다.
무엇보다 지몬 박사는 "전략적 우위는 고객에게 (우리가) 중요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고객이 그것을 안다는 데 있다"고 주장하는 한편, 본업에 매진할 것과 독창성을 가질 것 등 기업 특히 중소기업이 살아남을 최강의 전략들에 주목, 강조해 오고 있다.
일관되게 자기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일에 매달리도록 중소기업에 강조하는 데다, 고객에게 소중한 것을 만들어야 살아남는다는 그의 일관성 정책은 중소기업 파트너를 자처하는 기업은행의 구미에 가장 잘 맞는 학문론일 뿐더러 기업은행이 앞으로도 갖추고 가야 할 목표점이기도 하다.
![]() |
||
헤르만 지몬 박사(좌)가 기업은행의 고문으로 위촉된 뒤 조준희 행장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기업은행 |
그런가 하면, 한국 출신인 김용 세계은행(World Bank) 총재 역시 마이클 바버 전 영국 총리 직속 국가전략청장에게 조언을 구하고 있다.
이 같은 김 총재의 행보는 워싱턴 포스트(WP)가 지난 17일(현지시간) 보도하면서 잘 알려졌다.
세계은행은 지구촌의 부 편중 현상 해소를 위해 그간 많은 역할을 해 왔지만, 비대한 조직과 타성에 젖은 사업 진행 등의 문제를 안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를 위해 변화 경영 부서를 신설했고 고문으로 바버 전 청장도 초빙한 셈이다.
김 총재는 개혁 드라이브를 걸고 있지만, 무작정 대개혁, 파괴적 혁신을 추진할 수는 없다. 바버 전 청장이 그의 개헉 작업에 영감을 불어넣고 방향성에 대해 조언을 하고 있다. 바버 전 청장은 명확한 우선순위에 따른 사업 집행, 즉 일관성을 강조하는 인물이다. 끊임없는 감독과 피드백 등을 강조하지만 무작정 성과를 내라며 괴롭히는 것이 아니라는 느낌을 부하직원들에게 인지시키는 데 성공해, 여러 개혁 작업에 많은 역할과 조언을 해 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독창성을 강조하는 가운데서도 일관성을 견지할 것을 요청하는 두 거물이 세계적 금융기구와 한국 중소기업 금융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중은행에 동시에 자리를 잡고 있는 점은 이색적이다. 두 수장의 고문들이 던질 화두와 이것을 실현할 두 기관의 비전에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