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기자수첩] 공기업 고액연봉? 도덕성 문제가 우선

이정하 기자 기자  2013.05.06 16:37:16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삼성에 비해 금융위원회 산하 공기업 연봉이 20% 이상 많다는 내용을 골자로, 6일 아침부터 금융공기업의 고액 연봉 논란이 이슈가 됐다.

금융 공기업의 고액 연봉은 어제오늘 일도 아니고, 이제와 새삼스러울 것도 없다. 금융공기업뿐만 아니라 금융권 민간 기업들의 연봉은 '돈을 만지는 일이니 유혹에 넘어가지 않도록 많이 줘야한다' 혹은 '고급인력인 만큼 대우를 해줘야 한다' 등 갖가지 이유로 당연시 돼오기도 했다.

그만큼 취업 관문이 높다는 얘기도 회자되고 있고, 같은 성격의 업무가 아니기 때문에 비교 자체가 모순이라는 지적도 있었다. 금융공기업 고액 연봉 논란은 이렇듯 공기업의 현재 위상을 또 다시 세간에 각인시키는 꼴이 돼버렸다.

이날 일련의 논란이 이슈로 잠깐이나마 급부상했지만, 사실 아쉬운 대목을 따로 있다. 공기업의 도덕성 얘기가 오간데 없이 쏙 빠져버린 것이다.

과거 MB 시절 금융권을 호령하며 막강한 힘을 발휘하는 4명의 남자가 있었다. 인사 및 경영권에 깊이 관여했고, 금융권 안팎에서 이들을 '4대 천왕'이라고 불렀다. 올 들어 새 정부가 꾸려지고 금융위가 압박을 가하면서 이들 4명은 화려한 과거를 뒤로 한 채 씁쓸히 퇴장하는 분위기다.

이들을 회장으로 모셨던 기업 노조들은 공식적으로 환영의 뜻을 밝히고 민간기업이라는 점을 강조, 내부 경영진이 탄생했으면 하는 바람을 내비쳤다.

민간기업 한 은행 관계자도 "기껏해야 3~4년 있게 되는 이들이 왜 회사를 흔들어 놓고 가는지 모르겠다. 우리는 평생을 지킬 회산데…"라며 낙하산 인사에 대해 울분을 토로했다.

금융공기업의 경우는 다소 다르다. 오히려 공기업 관계자들은 내부 출신 경영진 탄생을 부담스러워 하며 힘 있는 낙하산 인사가 와주기를 노골적으로 바란다.

이유인 즉, 힘 있는 사람이 와야 기관의 위상이 높아지고 고용 안정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계산에서다. 일례로 2008년 한국거래소의 공공기관 지정에 대해 관련 업계에서는 든든한 낙하산 인사가 없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이 때문일까. 공기업의 낙하산 인사는 어쩔 수 없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게 됐고, 이왕 오는 낙하산이라면
  이미지  
 
해당 기관을 지켜줄 든든한 배경을 가진 능력자가 와주기를 내심 기대하기도 한다. 이와 관련, 사장 사퇴 운동을 벌이고 있는 노조의 한 관계자도 "우리가 내부 출신 경영진을 바라는 것은 아니다"며 서슴없이 고충을 토로한 바 있다.

독점적 지위를 갖고 시장의 감시 및 발전에 앞장서야 하는 공기업의 이러한 태도야 말로 비판받아야 하지 않을까. 고액 연봉보다는 받은 만큼 가치를 실현하는 존경받는 조직이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