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KT(030200·회장 이석채)가 차이나모바일홍콩(CMHK)과 함께 세계 처음으로 서로 다른 LTE 네트워크 망인 FD-LTE와 TD-LTE간 이종 LTE 네트워크 로밍을 상용화했다고 27일 밝혔다. 그간 TD-LTE와 FD-LTE망 사이에서는 로밍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았다.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고 있는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에서 열린 이종 LTE 네트워크간 로밍 시연도 성공적으로 끝났다.
KT는 한국 통신 사업자로는 유일하게 GTI(Global TD-LTE Initiative)에서 보드멤버로 활동하고 있으며, 이번 MWC 현지에서도 중국 차이나모바일과 협력을 통해 서로 다른 LTE간 로밍 테스트 시연을 진행해 참가자들의 많은 관심과 호응을 받았다.
전 세계에서 사용 중인 LTE 네트워크는 주파수 분할 방식의 FD방식과 시분할 방식의 TD방식으로 구분된다. TD방식은 현재 중국과 인도를 비롯한 일부 국가에서 사용 중이며, FD방식은 한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다.
![]() |
||
KT는 홍콩의 차이나모바일홍콩(CMHK)과 함께 서로 다른 LTE 네트워크망인 FD-LTE와 TD-LTE 사이에서 '이종 LTE 네트워크 간 로밍 서비스'를 세계 처음으로 상용화했다. 사진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고 있는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에서 '이종 LTE 네트워크 간 로밍 서비스'를 시연하고 있는 모습. ⓒ KT |
전 세계 최대 모바일 가입자를 가진 중국도 TD-LTE 서비스를 준비 중으로, KT는 중국에서 LTE 로밍 서비스를 빠른 시간 안에 제공할 전망이다.
KT는 앞으로 중국에서 차이나모바일을 통해 KT 고객들이 LTE 로밍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협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KT는 지난 2011년 1월 일본의 NTT도코모, 중국의 차이나모바일 등 동북아 대표 3개 사업자와 '한중일 통신 전략적 협력을 위한 협정서'를 체결하고 로밍 협력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번 이종(異種) LTE 로밍 역시 이러한 협력으로 이뤄 낸 결과물이라고 밝혔다.
KT는 이미 지난해 7월 차이나모바일홍콩, 싱가폴 등과 LTE자동 로밍 서비스를 개시하는 등 LTE 로밍을 선도하며 LTE 로밍 커버리지를 확대하고 있다
표현명 T&C부문장 사장은 "KT의 LTE는 글로벌 표준인 1.8GHz이기 때문에 빠르게 사업자를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며 "앞으로 중국 등 우리와 다른 방식의 LTE 망을 사용중인 국가에서도 빠른 LTE 로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