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이달 말부터 시행되는 사회공헌내역 공시를 앞두고 보험사들이 고민에 빠졌다.
공시기준에 허술한 부분이 있을 뿐만 아니라 기부금액, 봉사시간 등 양적 지표들이 중소사들에게 불리하게 적용될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다. 또한 보험사들은 '사회공헌이 공시대상인지 모르겠다'며 불편한 기색을 비추고 있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사회공헌활동 고시자료 세부작성기준'을 마련할 것을 이달 초 각 보험사에 전달했으며 보험사들은 이달 말부터 각사 홈페이지에 이를 게시해야 한다. 이에 따라 고객들은 3월부터 각사 홈페이지에서 사회공헌 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생·손보협회 또한 보험사별 통합조회를 실시할 예정이다.
금감원이 제시한 기준에 따르면 보험사들은 △지역사회·공익 △문화·예술·스포츠 △학술·교육 △환경보호 △글로벌사회공헌 △공동사회공헌 △서민금융 등 7개 분야별로 주요활동, 집행금액, 임직원과 설계사별 봉사 인원 및 시간을 공시해야 한다.
하지만 보험사들은 금감원이 제시한 봉사 인원 및 시간에 자세한 기준이 없어 회사별 기준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사회공헌 전담인력의 경우 감독원에서 겸업도 인정한다고 했는데 겸업의 정도를 어디까지 볼 것인지 기준이 없는 상황"이라며 "중소형사의 경우 전담인력이 아예 없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어떻게 비교한다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사회공헌 전담인력을 두는 건 기업의 자유지만 이번 공시 때문에 부랴부랴 인력을 뽑는 곳도 있다고 들었다"면서 "갑작스런 공시 명령에 다들 당황하고 있다"고 말했다.
봉사시간도 문제가 되고 있다. 회사 자체 기준에 따라 정하도록 해 회사별로 이동시간 등을 포함하는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이 나눠져 정확한 비교가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공시기준이 금액, 봉사인원, 봉사시간 등 양적인 측면에 맞춰져 보험사들의 사회공헌이 규모적인 측면에 집중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또한 삼성생명, 교보생명, 현대해상 등 사회공헌 전담 조직을 운영하고 있는 조직과 비교될 가능성이 커 보험사들은 부담스럽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저소득층 경제교육 등 보험사가 진행하는 사회공헌 중에는 꼭 시간과 돈이 크게 들지 않지만 의미 있는 일이 많다"면서 "이렇게 금액과 시간으로만 사회공헌을 평가한다면 앞으로 다들 '보여주기 식 사회공헌'에 치중하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그는 "요즘에는 각 사별로 스포츠, 교육, 간병 등 전략적으로 추구하는 봉사방향이 다르고 각자 장기적으로 진행하는 프로젝트가 있는데 무조건 시간과 금액으로 사회공헌을 평가한다는 것 단순한 생각"이라고 꼬집었다.
특히 중소형사의 경우 인원이나 규모면에서 사회공헌 활동에 적극 나설 수 없는 입장인 만큼 더욱 곤란한 상황이다.
한 중소보험사 관계자는 "당기순이익과 함께 사회공헌 액수를 공시한다고는 하는데 아무래도 숫자로 비교하다 보니 '줄 세우기'로 보일 가능성이 커 걱정"이라며 "설계사 등도 없는 온라인 전업사들의 경우 인력이 적어 더욱 곤란한 상황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