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일본처럼 가라앉나? 국토부, 정비예산 2배 늘려

연안침식 증가추세…해운대·경포대 백사장 그나마 회복

박지영 기자 기자  2013.02.18 16:05:05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전국 주요 백사장과 사구 등에 연안침식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공구조물 건설과 함께 유독 지난 한 해 동안 태풍이 잦았던 까닭이다.

18일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에 따르면 우리나라 주요 백사장과 사구 가운데 침식심각지역(D등급)은 26개소에서 24개소로 줄었으나, 침식우려가 있는 C등급은 오히려 78개소에서 102개소로 증가했다.
 
증가 이유는 크게 세 가지다. 지난해 우리나라를 강타한 태풍 딤레이·카눈·덴빈·볼라벤·산바 탓이 컸다. 또 이상고파랑과 인공구조물도 침식을 발생시키는 데 한몫했다.  

   
2012년도 지자체별 침식등급 현황. ⓒ 국토해양부
일례로 해운대해수욕장은 지난해 8월말에서 9월 중순 발생한 태풍 덴빈·볼라벤 등의 영향으로 백사장 면적이 피해 전 5만3689㎡에서 4만8327㎡로 줄었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최근 들어 5만894㎡로 다시 회복되고 있다는 것이다.

경포대해수욕장 역시 지난해 7월 개장을 앞두고 백사장 남단 250m 구간에 침식이 발생, 백사장 면적이 피해 전 7245㎡에서 4045㎡로 절반가량 줄었다가 응급복구를 통해 침식발생 이전인 7245㎡ 수준으로 회복됐다.

이후 추·동계에 퇴적되는 계절적 특성으로 현재는 1만1081㎡로 오히려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연안침식 현상에 대해 국토부는 최근 심각성을 인식, 침식심각지역에 대한 국가시행 정비사업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국토부는 사전 예방적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연구개발사업 시행 및 제도개선, 지자체와의 협력을 구축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국토부는 침식심각지역으로 평가된 24개소 중 이미 연안정비기본계획에 반영된 21개소는 예정대로 정비사업을 진행하고, 미 반영된 3개소는 올해 안으로 연안정비기본계획에 반영할 방침이다. 

또 연안침식이 우려되거나 진행 중인 연안도 침식관리구역으로 지정하기 위해 연안관리법을 개정하고, 자연적 방재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자연형성지를 연안완충구역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또한 연안침식현상을 과학적으로 규명, 예측하고 침식저감공법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국토부 연안계획과는 "올해 국가시행 연안정비사업은 침식심각지역 8개소를 포함 18개소, 516억원으로 전년대비 8개소, 224억원이 증액된 수준"이라며 "체계적인 침식방지를 위해 지속적으로 규모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