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박근혜 정부가 '벤처어게인(벤처 부활)'을 강조하고 나선 가운데 은행업계가 지난해 공동으로 출시한 '청년드림대출'에 새삼 눈길이 쏠리고 있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박근혜 당선인의 국정운영 목표 중 고용률 70% 달성에 벤처기업 활성화를 제시한 바 있다.
'청년드림대출'은 은행연합회와 20개 회원은행이 3년간 5000억원을 한도로 지원하는 보증부 대출 프로그램이다.
![]() |
||
은행연합회와 20개 회원은행이 3년간 5000억원 한도로 지원하는 보증부 대출 프로그램 '청년드림대출'이 국내외 은행별 지원 편차가 크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업계는 지원 편차를 두고 상황에 따른 차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하고 있다. ⓒ전국은행연합회 |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기업은행이 179억9500만원을 지원, 은행권 가운데 30.5%를 차지하며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뒤를 이어 국민은행은 지난 7일 기준 144억원을 지원했다.
이 밖에도 우리은행은은 50억원을 넘었으며, 신한은행 43억원, 하나은행 38억원, 농협은행 23억원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 외국계 은행은 한국씨티은행 5억원, SC은행은 6억원을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국내외 은행별 지원 편차가 크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지만, 업계는 인프라 등 상황에 따른 차이로 설명하며 확대해석을 경계하고 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청년창업대출 프로그램은 목적성 대출로 수요가 많다 적다를 구분할 수 없지만, 목적성 대출치고는 수요가 많은 편이다"며 "아무래도 점포수 차이에 따른 고객 이용접근이 용이한 점이 이유인 것 같다"고 밝혔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신용 보증서를 끊어 고객이 원하는 은행과 거래가 맺어지는 것으로, 수익성으로 인한 홍보 문제로 볼 수 없다"고 말했다.
SC은행 관계자의 경우 "시중은행과의 규모와 인지도 차이가 가장 큰 이유인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캠퍼스 안에 들어가 있는 은행과의 영업적 차이가 청년층 인지도에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고 언급했다.
한편, 박근혜 정부는 '벤처어게인'을 위해 창업 초기 기업에 투자하는 '엔젤펀드' 활성화와 정부와 기업이 함께 손잡고 '청년창업펀드'를 조성할 방침이다.
정부와 대기업이 공동으로 기금을 조성해 오디션 방식으로 청년층의 창업아이디어를 발굴하는 '창업기획사' 정책도 도입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 중소기업청은 대기업과 벤처기업·연기금 등과 함께 오는 2017년까지 2000억원 규모의 청년창업펀드를 조성해 39세 이하의 청년 창업기업에 투자하는 안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제출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