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간 나오토 전 일본 총리가 시민운동가, 풀뿌리 정치인 출신의 총리라고 해 화제를 모은 바 있지만, 간 전 총리를 배출한 가나가와네트워크도 주목할 만 하다. 가나가와네트워크는 2003년 지방선거에서 39명의 의원을 배출하는 등 저력을 과시하고 있다. 활동가 중에 후보를 내고 임기를 마치면 다시 활동가로 돌아오는 순환형으로 이뤄진다는 점에서 언제나 현직 운동가라는 점을 잊지 않는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간 전 총리의 경우도 그래서 총리직을 물러나면서 "시민운동의 원점으로 다시 되돌아왔다"고 말하기도 했으며 이후 한 사람의 민간인으로서 원전제로 정책을 지지해줄 것을 호소하는 등 활동을 하기도 했다.
이렇게 시민운동가들이 비중이 커지고 정치에 때로 몸을 담기도 하는 경향은 선진국의 경우는 이미 상례화된 것 같다. 다만 주목할 대목은 한 번 정치를 하더라도 언제고 돌아올 수 있다는 '초심'을 지키고 있다는 부분일 것이다. 어떤 형태로든 '스타'가 되고 난 뒤에도 늘 현장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하려면, 엄격한 도덕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점을 지키고 있기 때문에 간 전 총리나 가나가와네트워크 같은 일선 복귀 케이스도 가능한 것일 터이다.
15일 부동산 개발업체로부터 청탁과 함께 금품을 수수한 혐의로 기소된 시민운동가 최열씨가 실형을 살게 됐다. 환경재단 대표로 일하며 시민계, 환경운동가들의 대표주자 중 하나로 꼽히던 그가 영어의 몸이 되게 된 죄목은 부동산 개발업체 대표와 자치단체장 면담을 주선하고 알선 대가로 금품을 받은 혐의(특가법상 알선수재)라고 한다. 대법원이 상고를 기각하고 징역 1년과 추징금 1억3천만원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으니 이제 법적 논란은 끝난 셈이다.
![]() |
||
한 사람의 도덕성을 가지고 그가 몸담았던 환경운동이나 시민계의 전체 수준을 평가하는 것은 적절치 않을 것이다. 그의 처신과 그 단죄 결과에 대해 정치적 색깔을 덧씌우려는 것도 아니다. 다만 그가 환경이라는 키워드를 대표했던 열혈 운동가로서 대표성을 띠던 인물인만큼, 언제까지고 도덕적 염결성을 유지해 줬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크다. 간 나오토 전 총리처럼 시민운동가 출신 정치인이 최고위직에 오르고 또 다시 일선 운동가로 돌아오더라도 이상할 게 없는 풍토가 빨리 정착되었으면 하는 생각을 이번 실형 확정을 계기로 해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