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박근혜 정부의 장관 인선이 13일부터 공개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번 인선은 '관료 출신의 약진'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요, 17개 부처 중 우선 발표한 6개 부처 장관 내정자들이 모두 관료 출신이기 때문입니다.
전직 관료들은 부처 내부적으로 오랜 시간 검증을 받은 인사라 할 수 있습니다. 업무 스타일이나 리더십은 물론이고 도덕성에 대해서도 내부 평가가 어느 정도 이뤄진 셈이지요.
이를 두고 야당에서는 변화보다 안정만 염두에 둔 '청문회 통과용 인선'이라고 깎아내리고 있습니다. 탕평한 각오도 없고 고시합격 한 행정 관료가 대부분이라는 지적이죠.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인선한 장관들을 살펴볼까요. 외교부 장관에 윤병세 전 대통령외교안보수석비서관, 교육부 장관에 서남수 전 교육인적자원부 차관을 각각 내정했습니다. 또 국방부 장관에는 김병관 전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는 유진룡 전 문화관광부 차관을 염두에 뒀죠.
박 당선인이 국정 운영 기조로 내세운 '국민 안전'을 총괄할 안전행정부 장관에는 친박계 핵심인 유정복 새누리당 의원이 발탁됐고, 법무부 장관엔 황교안 전 부산고검장이 자리할 것 같습니다. 박 당선인이 이날 인선한 6명 중 5명이 고시 출신 관료다 보니 야당의 지적도 틀린 말은 아닌 것 같네요.
하지만 야당에서 이번 인사를 '청문회 통과용 인사'라고 깎아내리는 데는 다른 이유가 있습니다. 유정복 내정자와 황교안 내정자를 제외한 4명의 장관 내정자 모두가 노무현 정부 때 공직생활을 마감한 관료 출신이라는 점이지요.
서남수 내정자는 참여정부 시절인 2007년 교육부 차관을 지냈고, 윤 후보자 역시 참여정부 때 청와대에서 외교안보수석으로 일했습니다. 김 후보자는 2005년 대장으로 승진해 2006년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에 임명됐고, 유진룡 내정자 역시 2006년 문화부 차관을 지냈습니다.
이를 두고 여당에서는 내부 평판이 좋은 전직 관료를 발탁하는 한편, 관료조직의 변화에 방점을 두기보다 곧바로 업무 수행이 가능한 '실무형 인선'으로 안정적 국정 운영에 초점을 맞췄다고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철통 검증을 예고한 야당 입장에서는 지난 참여정부 시절 관료를 지낸 장관 내정자들을 청문회에서 거세게 몰아붙이기 한계가 있다는 푸념입니다.
과거 자신들 편에서 나랏일을 도왔던 내정자들을 정권이 바뀌었다고 무작정 먼지 털기에 나설 수도 없다는 입장인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참여정부 시절 문제가 있는 인물을 관료로 인정한 것으로 여당의 역공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이유에서죠.
이 때문에 인선 이후 민주통합당 의원 보좌진들은 인사청문회 준비를 어떻게 해야 할지 맥이 빠진다며 한숨짓고 있다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