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北 핵실험 '은하3호' 때보다 금융시장·신용등급 부담 커"

하이투자증권 "대북제재 강화될수록 시장 변동성 확대될 것"

이수영 기자 기자  2013.02.13 11:46:39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12일 북한이 3차 핵실험을 단행한 가운데 국내증시는 상대적으로 견고한 흐름을 보였다. 그러나 금융투자업계 일각에서는 지난해 말 '은하3호' 발사 때와 달리 국내 금융시장과 신용등급에 장기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특히 우리에게 북한 핵무기에 대응할 수단이 없다는 게 문제다. 여기에 UN의 대북제재 수위가 강화될수록 국내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더욱 확대될 수 있다는 점이 부담이다.

김익상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가장 큰 리스크는 비대칭 무기인 핵무기에 대응할 수단이 없다는 것"이라며 "핵탄두의 실전배치를 주장할 경우 우리로서는 내놓을 수 있는 카드가 없다"고 말했다.

UN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안이 더욱 엄격하게 결의될 경우도 우리에게는 부담이다.

김 연구원은 "해상교역 금지 뿐 아니라 항공 교역까지 확대될 경우 북한의 반발이 우려된다"며 "국내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주식시장은 물론 채권, 외환시장에도 부담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지난 연말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이어 핵실험까지 지정학적 리스크 요인이 연이어 발생했다는 점은 국가 신용등급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는 "S&P의 경우 한국 신용등급 평가에 있어 지정학적 리스크를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는다"며 "3차 핵실험은 물론 북한의 미사일 발사 등은 한국 신용등급 하향 조정의 빌미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북한은 13일 오전 11시57분 제3차 핵실험을 실시했다. 그러나 실험 성공 여부를 두고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북한은 이날 핵실험 직후 "폭발력이 크고, 소형화·경량화된 원자탄을 사용했으며 다종화된 핵억제력을 과시했다"고 자평했다.

반면 국정원 등 우리 당국은 "소형화, 경량화에 이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며 사실상 실패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