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서울식품공업(004410·대표 서성훈)은 2011년 68억원의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시설 매출액이 지난해 약 23% 상승한 84억원을 기록한데 이어 올해 100억원가량을 예상한다고 13일 밝혔다.
음식물쓰레기를 밀폐된 공간에 오랫동안 저장시켜 발생되는 메탄가스로 전기를 생산하는 '혐기성 소화 방식'은 음식물이 썩으면서 생기는 악취가 심해 민원 발생 여지가 크고, 이에 따른 시설물 지하화로 고가의 공사비가 든다.
또한 기술 검증이 완벽하지 않아 운영에 어려움이 따르며 염분 농도가 3%에 이르는 우리나라 음식 문화 특성상 미생물 활동이 미약해 가스생산이 기대보다 적고 기후 변화가 극심한 동절기엔 미생물 활동이 부진한 것도 단점이다.
서울식품이 보유한 '건조 사료화 방식'의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설비는 고농도 폐수와 악취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됐으며 구조가 간단해 설치비용이 저렴하다. 또한 별도 첨가제 없이 저온, 고속 건조를 통해 양질의 단미사료를 생산, 양계 농가에 저가에 판매함으로써 폐기물을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성과를 거둬 정부의 녹색성장 정책에도 기여하고 있다.
아울러 소각장의 폐열을 이용해 처리비용도 크게 줄일 수 있는 특화 설비로, 지자체의 운영비 역시 크게 절감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서울식품은 이미 지난 2006년부터 수원시의 음식물 자원화 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김포시와는 2010년 12월에 한강신도시 크린센터 설치공사 중 37억원 규모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을 수주해 시범 운영 중에 있다. 특히 현재 환경부, 지자체, 외국 환경 관련 공무원 등 연간 100회 이상 1000명 이상이 수원시 음식물 자원화시설을 견학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해 8월에는 56억원에 달하는 경기도 하남시의 자원화시설 구축을 위한 계약을 GS건설과 체결, 오는 10월경 준공 예정이며 이외에도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충북 제천시, 경북 청도군 등 10여곳의 음식물 자원화 시설을 준공한 바 있다.
서성훈 대표는 "서울식품의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시설은 시민 건강 및 공중위생을 최선으로 하는 환경친화적인 설비로, 경제적 효율성 및 자원의 재활용률 제고에도 최적화된 방식"이라고 말했다.
이어 "올해부터 음식물쓰레기 폐수의 해양 배출이 전면 금지돼 서울시 등 각 지자체들이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몸살을 앓고 있는 상황이어서, 각 지자체별로 음식물 자원화 시설 구축을 위한 투자가 활성화할 것으로 보여 서울식품에는 큰 기회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 대표는 또 "서울식품은 지난해 2월 중소기업청으로부터 중소기업 확인서를 받아 최근 동반성장위원회가 제과제빵업을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한데 따른 혜택을 볼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을 보탰다.
한편 1955년에 설립된 서울식품공업은 제빵, 냉동생지, 환경사업 등에 주력하는 식품업체로 1973년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됐으며 자본금은 331억원, 종업원수는 150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