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신용카드 등 전자지불결제 상품 이용 증가로 지난 5년간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이 230억 달러 증가한 것으로 무디스 애널리틱스(Moody’s Analytics) 조사 결과 나타났다.
비자카드 의뢰로 실시된 이번 조사는 한국 포함 전 세계 GDP의 93%를 차지하는 56개국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 결과, 카드 사용은 경제 효율성을 높여 경제 성장 증가 효과를 낳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디스 애널리틱스는 2008~2012년 기간 동안 전자지불결제가 56개국 GDP 증가에 9830억 달러 규모의 효과를 가져왔으며 동기간 이들 국가의 GDP는 평균 1.8% 포인트 가량 늘어났다고 밝혔다.
아태지역에서도 전자지불결제 도입이 GDP 증가를 가져왔으며 특히 중국, 일본, 한국 및 호주 순으로 증가 효과가 컸다. 중국의 경우 GDP가 약 3750억 달러 가량 증가했으며 한국은 230억 달러 가량 늘어나 일본 250억 달러, 호주의 210억 달러와 비교해 GDP 증가 효과가 대체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무디스 애널리틱스의 조사 결과 56개국에서 카드 사용이 1% 증가할 경우 소비는 연간 0.056% 가량 증가했다. 한국의 경우 카드 보급이 1% 증가할 때 소비는 0.088%, GDP는 0.047% 가량 늘어나 소비 0.022%, GDP 0.014%를 기록한 일본과 현격한 격차를 보였다.
무디스 애널리틱스는 카드 사용의 증가가 GDP 증가율 및 소비 진작 면에서 일본(0.21%, 0.2%)보다 국내(0.17%, 1.05%)에서 더욱 높은 기여도를 보여 국내 카드 보급 증가의 경제적 영향이 이웃 국가인 일본보다 더 많은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제임스 딕슨(James Dixon) 비자 코리아 사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카드 사용이 경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온 직접적 요인이었으며 이는 한층 강화된 보안, 현금 없이도 운영 가능한 편리함 등 전자지불결제의 장점에서 비롯된 결과임이 증명됐다"고 전했다.
이어 딕슨 사장은 "새롭고 혁신적인 솔루션을 통해 한국 내 전자지불결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한국 경제 성장의 확대 및 지원을 위해 국내 기업, 정부 및 업계 관계자들과의 협력을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