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스트레스로 인한 소화불량 환자가 최근 6년간 약 15만명 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9일 발표한 최근 6년(2006~2011년) 동안의 '소화불량' 질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6년 48만9000명이던 소화불량 환자는 2011년 64만명으로 15만명 가량 늘어났다. 연평균 증가율은 5.5%다.
2011년 기준 연령대별 환자 비율을 보면, 50대가 15.5%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40대(13.6%), 30대(12.4%) 순이었다.
같은 시기 성별·연령대별 환자 비율은 남성은 80세 이상이 3079명으로 가장 많았다. 뒤를 이어 70대(2719명), 9세 이하(1716명), 60대(1656명) 순으로 많았다. 여성은 70대가 3008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80세 이상(2638명), 60대(2244명), 9세 이하(1733명) 순이었다.
원선영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최근 소화불량 진료인원이 늘어난 것은 스트레스의 증가 탓으로 보인다"며 "소화불량 예방을 위해서는 생활습관과 식이요법 개선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원 교수에 따르면, 소화불량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위에 자극을 주는 고지방음식이나 카페인 음료, 알코올, 맵고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늦은 밤 식사나 식후 과격한 운동도 소화불량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불규칙한 식생활 습관도 소화불량 증상 악화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규칙적인 식생활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