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시민사회단체가 2015 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경기장 시설공사에 대한 의혹을 거듭 제기하는 것은 납세자의 권리보호와 예산 낭비를 감시한다는 의미가 있지만, 지역사회의 갈등과 편 가르기를 양산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비등하고 있다.
특히, 대규모 국제대회를 준비하며 국민적 관심과 시민들의 참여의식을 고취시켜야할 중요한 시점에 거듭되는 의혹제기는 논란과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으며, 대회를 준비하는 3000여 공직자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시키고 있다는 반발이 동반되고 있다.
광주지역 시민단체인 ‘참여자치21’은 최근 ‘특정 건설업체와 광주시의 유착관계가 의심된다’며 “특정 회사가 공사를 독점하게 된 데에는 광주시 고위공직자 출신들이 건설사 대표이사 등 임원으로 취업하면서 영향력을 행사한 결과라고 추정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단체는 지난 4일 보도자료를 통해 “2010~2012년 전국 턴키공사 현황에 대한 정보공개 청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광주시가 발주한 9건의 턴키공사(전체 낙찰가 4966억원) 평균 낙찰률이 95.17%로 전국 평균 낙찰률(약 88%)보다 무려 약 7.17%가 높았다”고 주장했다.
또, “광주시는 입찰행정과 관련한 정보공개에서도 문제점을 보였다”면서 “업체별 종합평가 점수, 소위원별 평가 점수, 사유서 및 세부 감점 내용을 실명으로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자신들이 제기한 유찰에 대한 의혹은 광주시가 자초했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이 같은 주장에 대해 광주광역시 공직사회의 투명성과 도덕성을 가치로 내세우고 있는 공무원노동조합이 크게 반발하고 나섰다.
광주시공무원노조는 “한 시민단체가 사전 내정설 등 사실과 무관한 의혹을 제기하고, 마치 비리가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보도한 것은 광주시 3000여 공직자들의 명예를 실추시키는 것” 이라며 강한 불쾌감을 드러냈다.
특히, “지난 총인사건을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 발주방법 결정을 과거방식에서 과감히 탈피, 발주부서와 전문가 그룹인 기술심의위원의 심도 있는 공동심의를 거치는 등 발주방식을 결정한 바 있음에도 불구하고 거듭되는 의혹제기는 시 공직자 뿐 아니라 광주시와 140만 시민들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어 “설계적격심의 및 평가회의 시 감시활동을 강화하고자 평가회의 입회인을 시의회, 시민사회단체, 경찰, 감사담당공무원으로까지 확대했으며, 심의기간동안 심의위원에 대한 1:1 특별감찰과 윤리행동강령 위반신고센터를 운영하는 한편, 설계의 공정한 비교와 검토, 진위여부 확인 등 심의의 내실화를 위해 입찰참여업체 상호간 설계내용을 토론하는 방법을 도입하고 평가위원별 평가점수 또한 공개하기로 이미 결정운영하고 있는 중이다”고 설명했다.
노동조합의 주장은 광주시가 투명한 입찰행정을 위해 최선의 자성노력을 하고 있음에도, 이 같은 노력은 고려하지 않고 사실에 근거하지 못한 의혹만을 제기하고 있다는 것이다.
U대회 조직위 한 관계자는 “대규모 국제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기 위한 범시민적 역량이 결집돼야 할 중요한 시기에, 자성을 위한 시의 노력은 보지 않고 의혹만을 꼬집는 시민단체가 지역의 논란과 혼란을 가중시키는 것은 아니지 의문이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시공무원노조는 “시민단체와 언론이 사실이 아닌 의혹제기로 광주시 공직자들의 명예를 실추시키는 행위를 할 시는 (더 이상)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