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금철 기자 기자 2013.02.06 11:49:24
[프라임경제] 130억원 대출금 상환에 고초를 겪은 박대혁 리딩투자증권 부회장에 대해 하나은행이 결국 공개 매각 방침을 밝혔다. 이에 따라 지분 매각 이후 하나은행을 개찰구로 삼은 리딩투자증권의 재정·경영 리스크를 완화 여부와 함께 이 증권사의 인수 기회를 엿볼 업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오는 19일 박 부회장의 리딩투자증권 보유주식에 대한 공개 입찰을 실시할 예정이다. 박 부회장 개인지분과 박 부회장의 사모투자펀드(PEF)인 IWL파트너스 지분 각각 3%(318만주), 17.8%(1873만1360주)를 합친 20.8%, 2191만1360주가 대상이며 매각을 담당하는 아이엠투자증권의 서울 여의도 본사에서 입찰이 이뤄진다.
![]() |
||
매각 변수였던 리딩밸류펀드의 청산에도 불구, 높은 LP의 보유지분은 인수 희망업체에 캐스팅보트로 작용하게 됐다. 현재 파인스트리트가 리딩투자증권 인수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은 리딩투자증권 본사. ⓒ리딩투자증권 |
당초 걸림돌로 여겨졌던 IWL파트너스가 설립한 최대주주 리딩밸류펀드(이하 리딩밸류)는 지난달 초 청산 절차를 마쳤으며 리딩밸류의 선순위 유한책임투자자(LP)들이 리딩투자증권 주식을 현물 배정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만큼 리딩밸류가 청산됐어도 공무원연금 등 LP의 전체 지분은 전체 32%가 넘게 돼 하나은행에서 리딩투자증권 지분을 사들인 곳이 유상증자나 LP 보유주식 추가 인수 등의 방안을 앞세워 경영권 안정을 꾀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유력한 인수후보로 떠오른 곳은 파인스트리트(PineStreet Group)다. 윤영각 전 삼정KPMG 회장이 설립한 이 업체는 리딩투자증권 인수를 위해 하나은행은 물론 리딩투자증권 및 LP와 접촉, 구주·신주 매입 가격을 조율하는 동시에 유상증자 검토 등 관련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일본 미쓰비시그룹과 50대50으로 출자한 투자자문사 설립을 추진한 끝에 지난달 대표이사 자리에 앉게 된 윤 전 회장은 삼정KPMG 당시부터 금융업에 큰 관심을 가졌었다. 작년 초 미국계 헤지펀드 밀레니엄파트너스가 한국형 헤지펀드시장 진출을 타진했을 때도 비상임이사로 자문을 담당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