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재무적인 대화를 많이 하는 부부일수록 노후준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생명 은퇴연구소는 5일 '부부의 재무적 협력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발표하고 노후 준비 등 원활한 장래 생활을 위해 부부가 '돈'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화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보고서는 전국의 기혼자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1월9일부터 15일까지 7일간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설문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40%, 즉 부부 5쌍 중 2쌍이 '돈'에 대해 거의 대화를 나누지 않거나 급하거나 필요할 때만 대화를 나누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화를 나누지 않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재무관리를 부부 중 한 사람이 알아서 하기 때문'이라는 대답이 66%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감정이 상할까봐 15%, 각자 따로 관리해서 9% 순이었다.
부부간 재무적인 대화의 내용도 장래보다 현재 지출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생활비, 자녀교육비, 부모님 용돈 등 현재의 지출에 대해 합의가 잘 이뤄진다고 대답한 비율이 80%를 넘어선 반면 은퇴 후 계획, 장기적인 재무 목표 등 장래 문제에 대한 합의는 60%대 수준이었다. 특히 부모님 간병 계획과 사별 후 홀로 남을 배우자의 노후대책 문제에 대해서는 과반수가 '별로 또는 전혀 상의하지 않는다' 고 응답했다.
한편 재무적인 대화를 자주 하는 부부일수록 노후준비 수준은 높았다.
부부간 재무적인 대화를 '매달 하는 집단'(437명)과 '급할 때만 하는 집단'(350명)의 노후준비 현황을 비교한 결과, 매달 하는 집단이 모든 항목에서의 노후준비도가 높았다. 특히 금융상품, 부동산, 개인연금, 종신보험 보유율에서 상대적으로 차이가 컸다.
은퇴 이후를 대비해 현재 하고 있는 노후 준비수단(복수응답)으로는 국민연금(또는 직역연금)이 72%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개인연금(52%), 금융상품(50%), 종신보험(40%), 민영의료보험(34%), 부동산(28%) 순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은퇴 후 필요한 부부의 소득에 대해 55%의 응답자가 계산해 본 적이 없다고 대답했다. 노후준비 수단으로 가장 많이 언급했던 국민연금도 본인의 수령액을 정확히 알고 있는 경우가 11%에 불과해 노후준비에 좀더 세밀한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윤성은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연구원은 "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부부가 함께 할 노후가 점점 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준비 방법 등에 대해 서로 의견을 나누는 등 부부가 적극적인 대화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