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새 정부 출범일이 20여일 앞으로 다가옴에 따라 '박근혜 당선자가 바꾼' 다문화정책이 관련 상담센터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해 12월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과 새누리당은 국민모두가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며 함께 성장해 나갈 수 있는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한 다문화공약으로 4개의 주제와 10가지 실천과제를 발표했다.
박 당선인의 다문화공약 4개 주제는 △다문화가족에 대한 지원강화(3개 실천과제) △결혼이민자의 자립지원강화와 인권보호(3개 실천과제) △자녀세대의 긍정적 자질양성(2개 실천과제) △다문화 사회정책 효율성 제고 및 인식개선(2개 실천과제) 등이다.
아울러 초기입국 결혼이민자 및 가족대상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다문화가족 종합정보콜센터' 운영을 활성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새롭게 다문화가족 종합정보콜센터를 설치하는 방안 보다 기존 다문화 관련 콜센터인 이주여성긴급지원센터와 다누리콜센터가 통합이 하나의 계책으로 거론되고 있다.
이주여성긴급지원센터는 결혼이주여성이 겪는 가정·성폭력 등에 대한 상담과 한국 사회 정착을 위한 생활 법률정보 안내 등을 지난 2006년부터 제공했다. 다누리콜센터에서도 2011년 6월, 포스코의 후원으로 개소해 이와 비슷한 내용의 상담을 진행한다.
지난해 여성가족부 국정감사에서 이자스민 새누리당 의원은 "다누리콜센터의 경우 2014년 이후 포스코의 지원이 끝나 이후 운영이 불가능하지만 정부대책이 없다"며 "이주여성긴급지원센터에 다누리 콜센터를 편입해 보다 효과적 지원을 제공하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한 바 있어 더욱 관심이 쏠린다.
다누리콜센터 관계자는 "포스코의 지원은 내년 3월에 끝나 여성가족부 운영예산에서 별도로 편성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두 콜센터의 통합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인 내부계획이 없어 검토가 필요한 사항"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이주여성긴급지원센터 관계자는 "새로운 제3의 콜센터를 개소하는 것 보다 기존의 것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게 옳다"며 "두 센터가 통합될 경우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겠지만 더 좋은 상담을 제공할 수 있다면 통합에 찬성한다"고 말했다.
실제 두 상담센터에서는 △베트남어 △중국어 △러시아어 △영어 등의 언어로 상담이 이뤄져 해당 국가 출신의 결혼이주여성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지만 상담센터가 통합될 경우 이들의 일자리가 보장받지 못한다.
또한 통합과정에서 발생할 각 센터의 이해관계 조율은 또 다른 문제점으로 꼽히고 있어 향후 '다문화가족 종합정보콜센터' 방향에 대한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