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현대제철은 31일 여의도 한국거래소 국제회의장에서 '2012년 경영실적 설명회'를 개최하고 △매출액 14조1287억원 △영업이익 8708억원 △당기순이익 7914억원의 경영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철강시황 부진에 따른 판매단가 하락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각각 7.4%, 31.9% 감소했으나 원화 강세에 따른 외화환산이익으로 당기순이익은 전년대비 7.6% 증가했다.
제품 생산량은 판재류 891만톤, 봉형강류 713만톤 등 총 1604만톤을 기록해 2011년에 이어 2년 연속 제품생산량 1600만톤을 넘어섰으며 판재류 비중도 55.6%에 달해 고부가가치 고로 제품 중심의 생산체제를 확립했다.
특히 전체 판매량의 33% 수준을 차지하는 고부가가치 전략제품 판매량도 전년(436만톤)대비 23.6% 늘어난 539만톤으로 증가하는 등 고수익 고부가가치 강종 판매를 통한 제품 구성비의 개선이 두드러졌다.
전략제품 가운데 자동차강판의 경우 외판재 공급이 증가하고 고급강의 생산이 늘면서 판매량이 전년(241만톤)대비 23.2% 증가한 297만톤으로 늘어났으며 후판 고급재도 TMCP 및 열처리강 중심의 고급강 조기 개발로 전년대비 11.4% 증가한 24만4000톤을 판매했다.
이와 함께 열연 부생가스 연료 사용 확대를 통한 에너지 절감과 전로 사용주기 연장을 통한 생산성 증대, 부자재 원단위 절감 등 저원가 조업체제를 구축하고 수익성 위주의 초긴축 예산운영을 통해 연간 5750억원의 원가절감을 달성했다.
미래 성장을 위한 핵심 투자 부문인 3고로 투자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총 투자액 3조2250억원 중 지난해에만 1조6517억원이 투자돼 현재까지 2조4679억원이 집행됐으며 올해는 완공까지 7871억원의 투자가 이뤄질 계획이다.
3고로 건설공사는 현재(1월31일 기준) 토목·건축 공사 마무리 및 공정별 기계 설치공사가 진행되는 등 종합공정률 89.5%를 기록하며 오는 9월27일 완공을 목표로 순항 중이다.
또 현대제철은 고로 투자자금으로 장기 저리의 국내 신디케이션론과 수출신용금융(ECA Loan)을 조달해 사용하고 있으며, 불필요한 투자비와 원가를 절감함으로써 1조원 이상의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부채비율(133.4%)도 전년(138.6%) 대비 5% 이상 낮추는 등 대규모 투자기간 중에도 재무구조의 건전성을 유지하고 있다.
제품 개발은 고로 가동 3년 만에 △자동차강판 81종 △일반 열연강판 122종 △후판 128종 등 총 331종의 기본강종 개발을 완료해 시장의 요구에 완벽한 대응이 가능하게 됐다.
현대제철은 올해부터는 △고강도 고성형 강판 △차세대 신개념 강판 △고인성 충격보증 내지진 강판 △고강도 극저온 해양구조물용 후판 등 차세대 전략강종의 기술개발을 통해 미래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독자 고유 강종을 확대할 계획이다.
강학서 현대제철 부사장은 "지난해 4분기는 철강 쪽에서 제일 어려운 시기였고, 이번 1분기 역시 이러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는 추세"라며 "2분기부터 회복세에 들어서면서 올해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6.2% 보다 향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강 부사장은 특수강 분야 투자 여부에 대해 "올해 계획에 특수강은 포함돼 있지 않다"고 밝혀 그간 포항공장을 합리화 해 특수강봉강 생산능력을 50만t에서 150만t으로 늘리는 방안을 유보했음을 전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