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실업률을 낮추고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내년 1월부터 매달 450억달러 규모의 국채를 추가로 사들이기로 했다.
연준은 12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경기가 점진적인 속도로 개선되고는 있지만 충분한 정책수단을 제공하지 않으면 고용 시장 상황을 호전시킬 정도로 경제 성장 모멘텀이 강하지 않다는 우려가 많았다"고 조치의 배경을 설명했다.
◆연준 시중 유동성 확장 지속
![]() |
||
양적완화는 맞으나 성격은 보험성 조치에 불과하다? QE4 단행과 유동성 공급 조치 발표 이후 오히려 재정절벽 처리에 더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이미 지난 9월 회의에서는 기한을 정하지 않고 매달 400억달러 상당의 MBS 매입을 골자로 하는 QE3를 발표했다.
따라서 이번 조치까지 더하면 연준은 내년 초에도 매달 850억달러 규모의 채권을 계속 사들임으로써 시중 유동성을 확장하게 된다.
◆QE4(4차 양적완화)는 맞는데, 효과는 3.1?
이상재 현대증권 애널리스트는 이번 조치에 대해 "외형상으로는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프로그램 대체 양상이지만 미 연준 자산수위가 높아진다는 점에서 사실상 4차 양적완화 조치"라고 말했다. 13일 이 애널리스트는 이 같이 분석하고 다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버냉키도 인정했듯이 이미 초저금리 상태인 미국경제가 연준의 금융완화조치로 재정절벽 충격을 상쇄하기는 어렵다"고 내다봤다.
오석태 SC은행 수석이코노미스트도 이번 연준 조치 발표에 임박한 12일 기자들에게 "QE4라면서 기대감 표현하는데 효과는 QE3.1 정도로 보는 게 맞지 않겠느냐"는 진단을 제시했다.
오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의 문제는 디리버레이징이 아직 안 끝났다는 것이고, 여러 가지 전통적 잣대로 봤을 때 만만찮기 때문에 상황이 사실 미국도 긴축이 필요하다"고 현재 미국의 경제 상황을 분석했다.
◆절벽까지는 아니어도 긴축 유사 조치 필요, 그에 앞선 보험성 조치?
오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지난 번) 디폴트 논란이 났을 때 미국 재정도 문제가 있다는 건 어느 정도 파악이 된 거고, 재정을 긴축쪽으로 가야 한다는 게 재정절벽 얘기 나오는 이유"라고 재정절벽 이슈 상황을 분석하고 "긴축 안 한다고 선언하면 성장 측면에서는 가장 좋은 측면이겠지만 금융쪽에서 다른 쪽으로 반응할 것"이라며 재정절벽까지는 아니더라도 긴축을 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애널리스트는 이번 조치의 효과에 관련, "경제적으로는 재정절벽이 해소될 경우 내년 미국경제 회복세 확대와 엔화약세 완화 가능성 측면에서 긍정적이지만 국제 원자재 투기수요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점은 부담이 될 것"으로 우려했다. 아울러 이 애널리스트는 "내년 미국경제 향방은 여전히 정치권의 재정절벽 협상에 달려 있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이번 조치는 사실상 QE4이며 그랜드 유동성 장세 가능성은 더욱 커졌지만, 재정절벽 충격에 대비한 보험 성격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향후 재정절벽 관련 해법을 주시할 필요가 더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