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우리나라 기업들이 불황 때 연구개발(R&D) 등의 투자를 늘려 위기를 극복하고 성장을 이뤘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1일 '경기 침체기 기업 생존전략'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분석했다. 아울러 대기업 R&D 세액공제제도를 폐지하거나 축소하는 일은 재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GM, 도요타, 혼다 등 글로벌 자동차기업들이 R&D 투자액을 일제히 줄였으나 현대기아차는 지속적으로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힘입어 현대기아차의 2007년 미국 자동차시장 점유율은 4.7%에서 2011년 8.7%로 유일하게 성장세를 보였으며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에 맞춰 시스템반도체에 집중한 결과 2008∼2011년 세계 반도체시장 점유율이 42% 상승했다.
LCD업계에서도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한국 업체들은 4세대 라인에 선제적인 투자를 단행, 주도권을 확보한 뒤 여세를 몰아 R&D 투자에 집중한 결과 5세대 라인에서 일본, 대만 등 경쟁업체를 제친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