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 e- 사상계] 국빈방문을 위해 필리핀에 도착한 노무현 대통령은 14일 연금개혁 문제와 관련해 “전체적으로 큰 그림으로 또박또박 설계하고 있고 대략 2030년을 내다보는 계획을 짜고 있다”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이날 저녁 마닐라 시내 숙소 호텔에서 동포간담회를 갖고 “이제는 한 세대인 25∼30년을 내다보는 예산을 짜야 하기때문에 일단 2030년으로 계획을 잡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노 대통령은 이어 “우리나라가 5년 중기 재정계획을 시작한 것이 지난 2004년이 처음으로 그 이전에는 단년도 계획만 잡았다”며 “이제는 25년 앞을 내다보는 예산을 짜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 대통령은 "지금 당장 2만, 3만불 목표 어떻게 세우냐도 중요하지만 미래 불안하지 않은 나라 만들기 위해 내실 있게 준비하는 그 수준에 한국도 들어가고 있다"면서 한국이 복지, 노후 안정 얘기할 만큼의 수준에 들어섰고 그 수준에 맞는 준비를 하고 있음에 자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남·북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이 가장 좋아”
북한의 경제지원 협력 방식을 묻는 질문에 대해 노 대통령은 "북한에 대한 약간의 지원을 갖고 지렛대로 쓰려는 생각은 적어도 우리 정부는 갖고 있지 않다”며 “그렇게 하면 상대도 금방 눈치 채고 불신이 생기게 돼 좋은 일도 안된다”면서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이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해외진출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방안과 관련 노 대통령은 금융상 애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투자라는 관점에서 정책자금을 제공할 방법이 있는지 검토해 보겠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한국은 아직 돈 있으면 부동산에 넣으려고 하지 기술, 벤처에 투자하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있어 정부가 일정부분 위험을 부담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보기 따라 국민 세금으로 위험한 투자한다고 할 수 있지만 이는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며 한 나라 산업·경제가 어느 한 분야에서 불이 붙어야 승부를 보는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