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대선후보 토론회가 속된 말로 씨가 말랐다.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의 당내 후보 경선 때는 몇 차례 진행됐으나 정작 본선 경쟁이 시작된 이후로는 대선후보 토론회가 당최 열리지 않고 있다.
과거 대선 때마다 봇물 터지듯 열렸던 공중파 방송의 심야토론뿐 아니라 각종 언론단체나 시민단체의 초청 토론회도 감감무소식이다.
우리나라 대선에 후보 토론회가 도입된 것은 지난 1997년 15대 대선 때다. 이후 2002년 16대 대선의 경우 83차례의 대선후보 토론회가 열렸고, 17대 대선이 치러진 2007년에도 총 44차례(선관위 주최 토론 3회 별도)나 진행됐다.
아직 40여일이 남아있기는 하지만 대선후보 토론회가 한번도 열리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대선후보 토론회 횟수는 17대 때에도 훨씬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 안철수 무소속 후보 등 대선후보 3인방은 토론 대신 민심탐방에 열을 올리고 있다. 후보들이 유권자들을 직접 만나 그들의 얘기를 듣는 것도 의미있는 일이다.
하지만 이런 행사성 행보는 일방적 홍보에 그치기 쉽다. 5년간 나라를 맡을 적임자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상호 비교하는 자리가 있어야 마땅하다.
후보를 한명씩 차례로 불러 그의 정책과 철학 등을 따져보는 '좌담', 두 명 이상을 한 자리에 모아놓고 묻고 답하는 '토론'은 꼭 필요한 과정이다. 공직선거법에서 대통령 선거의 경우 대담이나 좌담, 토론은 선거일 1년 전부터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세 후보의 토론이 성사되지 않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정치전문가들은 후보 세 명의 소극적인 태도를 탓하고 있다. 박 후보는 야권 후보 단일화가 된 이후에 하자고 미루고 있고, 안 후보는 정책준비가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핑계를, 문 후보는 안 후보가 나오면 생각해보겠다는 입장이다.
대선 본선의 막이 오른 지 벌써 두달여가 지났다. 하지만 세 후보들이 매일 쏟아내는 즉흥 정책과 검증 안 된 공약들만 난무할 뿐 후보들의 진면목을 가려져 있는 느낌이다.
중앙선관위가 주관하는 TV토론은 12월4일, 10일, 16일로 예정되어 있지만 유권자들은 하루빨리 세 후보의 정책대결을 보고싶어한다. 후보들 간의 정책 차이와 능력을 알고 싶은 게 국민들의 솔직한 심정이다.
12월 중앙선과위 주관의 TV토론회 이전이라도 세 후보는 합의를 통해 언론매체가 주관하는 토론회 개최를 추진해야 한다. 자신에 대한 검증은 물론 국민들의 궁금증을 풀어주기 위해서라도 이 과정은 꼭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