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광주시가 광주TP를 중심으로 치과산업, 생체의료용 소재부품산업의 메카로 부상하고 있다.
광주지역이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생체의료용 소재부품산업 육성을 위한 최적의 인프라가 확보되어 관련기업들의 이전과 맞물려 지역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 |
||
정형외과용 부품. |
이를위해 광주시에서는 미래성장동력산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미래형 치과산업 벨트구축사업’ 추진으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진곡산단에 타이타늄클러스터단지(3만평)를 조성하고 있다.
지경부와 광주시 지원으로 구축된 광주TP ‘타이타늄․특수합금부품개발지원센터(센터장 이경구)’를 비롯해 조선대 치대 ‘치과용정밀장비및부품지역혁신센터(RIC, 센터장 김수관)’ 및 전남대 치대 ‘미래형생체부품소재산업육성사업단(RIS, 단장 박상원)'을 통해 지역기업들의 생체의료용 소재부품 기술개발 및 사업화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생체의료용 소재부품관련 기반조성을 통해 지자체 미래성장동력 산업육성을 위한 최대한의 지원방안을 마련해 놓고 외지기업유치 등 지역산업 활성화에 힘을 쏟고 있다.
특히, 광주시와 투자유치양해각서(MOU)를 체결한 생체의료용 소재부품관련기업 30개중에서 2012년까지 이전(입주)를 희망한 기업중 90%가 넘는 16개의 외지기업들이 광주시로 이전하여 둥지를 틀고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다.
매출 100억원이상의 중견기업들이 광주로 본사 및 생산시설 이전을 통해 양산체제를 준비중에 있으며 실질적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어 조만간 지역경제 활성화에 가시적인 성과가 기대된다.
이들 기업중 (주)알파덴트(대표이사 엄재수)는 작년매출 300여억원의 치과용 Ti합금 및 생체용 세라믹 등 치과재료 전문제조기업으로 생산시설 이전을 시작하고 진곡산단 타이타늄클러스터단지에 2,000평을 분양받아 2014년 입주예정이며 현재는 광주TP에 임시로 생산라인을 구축하여 사업화를 추진하는 등 향후 120억원을 투자하여 광주에서 제2의 도약을 꿈꾸고 있다.
아울러 작년매출 100여억원의 중견기업인 (주)하이덴탈코리아(대표이사 김용락)는 치과재료 및 기기제조업체로 광주에서 올해말부터 치과재료 제조가 가능하도록 생산시설을 이전하는 등 향후 50억원을 투자하여 치과용 합금 등 소재 및 기기전문기업으로 성장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외국유치기업인 초정밀 연삭용 기구를 생산하는 이탈리아의 세계적인 기업인 레디쉬 스톤사(대표 피에트로 리가)가 2012년 8월 광주TP에 국내법인((주)레디쉬스톤)을 설립하여 치과용 공구사업화를 추진하는 등 향후 2,000만달러를 투자하여 광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초정밀 연삭기구 등을 생산할 계획이다.
치과기자재의 제조 및 판매와 관련된 협회인 (사)대한치과기재협회(KDTA, 회장 김한술)의 분소를 최초로 광주TP에 유치하여 지역기업들의 치과관련 생산제품의 비즈니스 및 마케팅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무엇보다 생체의료용 소재부품산업은 치과산업의 5배 이상의 시장규모로 매년 10%이상의 고성장산업으로 광주지역에는 생체의료용 소재부품관련 산업활성화를 위한 유관센터 및 관련대학의 우수한 연구인프라를 갖추고 관련기업의 기술개발 및 사업화지원 등 최적의 산학연관 지원체계가 구축되어 있어 지자체의 미래성장동력산업으로 발전이 기대된다.
이경구 센터장(타이타늄센터)은 “외지기업 이전 및 투자활성화에 발맞추어 이전기업들이 지역토착기업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중견기업의 성장기반을 마련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활보할 수 있도록 차별화된 지원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광주TP 유동국 원장은 “광주에서 고부가가치 생체의료용 소재부품 산업이 지역산업의 활성화에 크게 이바지할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 및 기업지원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