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美·中 권력교체…'국내증시 득실' 전문가 의견은?

변화보다는 유지가 단기적 호재…정치적 불확실성 여전

이정하 기자 기자  2012.10.16 09:39:13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세계 제2의 경제대국 미국과 중국이 권력교체를 눈앞에 두고 있다. 미 대선이 채 한 달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오바마와 롬니가 오차범위 내에서 박빙을 나타내고 있으며 중국은 10년 만에 시진핑을 중심으로 새로운 지도부를 맞을 예정이다.

글로벌 경기위기 속에 G2의 정권교체라는 이슈가 우리 증시에 호재로 작용할지, 아니면 불확실성 확대와 함께 독이 될지 전문가들의 의견이 들어봤다.

◆미국, 정체교체는 '시장 혼란' 야기

미국에서는 그동안 지지율에서 열위를 보였던 밋 롬니 후보가 TV토론 이후 선전하면서 오바마 대통령의 지지율을 앞서가기 시작했다.

변화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미 국민은 흑인 첫 대통령을 탄생시켰으나 오바마 임기 동안 미국의 실업률이 8%를 웃도는 등 경제정책에 대한 비판이 이어지면서 오바마의 리더십은 흔들리기 시작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오바마 정부가 유동성 확대를 위한 3차 양적완화(QE3) 등 강력한 경기부양책을 실시하겠다고 밝힌 시점에서 정권교체가 이뤄질 경우 상황은 악화일로를 걸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롬니 당선 시 정책 불확실성이 확대될 것으로 판단했다. 그는 "롬니 후보 당선 시에는 공화당 측의 양적완화 중단 목소리가 거세지면서 통화정책의 불확실성 리스크가 높아질 것"이라며 내다봤다.

또한 곽병열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증시는 변화를 싫어한다"며 "기존 정권연임 시에 강한 상승장이 나타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정권교체는 기존 경제정책의 실패를 반영할 경우가 일반적"이라며 "정권교체라는 변화는 시장의 '혼란'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만약 롬니가 당선된다만 버냉키로 대표되는 비둘기파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게 돼 QE3 연속성도 훼손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 연구원은 "12월 말로 제2차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정책이 중단될 예정임을 감안할 때 대통령 선거 결과에 따라서는 미 연준의 추가적 완화 조치가 지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롬니 후보 당선 시 통화정책에서 더욱 이슈화될 부문은 버냉키 의장의 유임 혹은 연준 의장교체와 관련해 불확실성 리스크"라며 "이는 금융시장에 일단 양적환화 축소의 불안감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곽 연구원은 다만, 롬니가 승리하게 될 경우 집권 후반기로 갈수록 경기부양을 통한 증시 복원력을 강해질 것이라며 업종전략으로는 에너지, 소재, 금융 등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과감한 정책 기대감 있지만 "단기 부양 어려울 듯"

미국과 달리 중국의 경우는 정권교체에 대한 향후 전망이 엇갈린다. 신정부의 정책 기대감이 증시에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단기적으로는 큰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전망이 혼재하고 있다.

   
차기 상무위원을 구성할 인물 및 예상 직위 (자료-우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연주 대신증권 연구원은 최근 들어 시장에서는 시진핑 신정부의 정책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데, 가장 큰 이유는 경기둔화 우려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10월18일 발표 예정인 3분기 국내총생산(GDP)성장률이 전분기보다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시진핑 신정부의 과감한 정책 실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성 연구원은 "비록 대규모의 정책이 아니더라도 신산업 및 지역개발 투자 확대가 예상된다"며 "4분기부터 GDP 성장률 반등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안기태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사진핑이 집권하더라고 단기간 내에 경기 부양책을 내놓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향후 전망을 부정적으로 봤다.

안 연구원은 "글로벌 투자자들의 관심은 차기 정권의 경제정책 기조에 집중되고 있지만 대규모 경기 부양책 출시보다는 안정적인 성장을 강조하는 정책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시진핑 정권은 경제안정이 확보된 상태에서 성장을 추구하는 '온중구진(溫中求進)'을 정책기조로 유지할 전망"이라며 "시진핑이 경제구조 개선과 소득분배의 중요성에 공감하고 있는데다 공청단 세력의 건재를 감안해 독단적으로 새로운 방향의 정책을 추진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 연구원은 "다만 11월 당 대회 이후 정책 교체가 중국의 정치적 불확실성을 해소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