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지방 전셋값이 급등하면서 1억원을 초과하는 전셋집 비율이 55%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가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286만2460가구를 대상으로 1억원을 초과하는 전셋집 비율을 분석한 결과 55%로 나타났다. 이는 12%를 기록했던 지난 2004년에 비해 43%나 급등한 수치다.
2004년~2007년 참여정부 시절 당시 지방에서 1억원 초과 전셋집이 차지하는 비중은 12%~20% 차지하는데 그쳤다. MB정부 출범과 미국발 금융위기가 있었던 2008년 이후에도 26%를 넘지 않는 수준에 머물렀다.
![]() |
||
임차시장의 공급부족과 지역별로 개발호재가 잇따라 최근 2년 사이 상승폭이 두드러져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에 1억원을 초과하는 전셋집 비율이 55%를 기록했다. |
그러나 2010년 들어서 30%를 돌파해 지난해에는 40%를 넘어서는 등 최근 2년간 1억원을 초과하는 전셋집 비율이 단기간 급증했다. 올해 들어서는 50%를 넘었고, 지난 17일 55%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처럼 지방에서 1억원을 초과하는 전셋집 비율이 단기간 급등한 이유로 최근 2~3년간 임차시장의 공급 부족과 세종시·평창 올림픽개발 유치·혁신도시 등 지역별 개발호재가 맞물려 △2010년 10.2% △2011년 16.9%로 전셋값 상승세가 이어져 상향평준화됐다고 전문가는 분석했다.
부동산써브 박정욱 선임연구원은 “올해 들어서는 지난해에 비해 전세 상승률이 둔화된 모습”이라며 “하지만 1억원을 초과하는 지방 전셋집이 빠르게 늘어남에 따라 지방에 저렴한 전셋집을 마련하려는 실수요자들의 어려움이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