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각종 소프트웨어 보안 패키지로 중무장한 철통보안 금융권이 최근 물리보안 시스템 도입을 적극 서두르고 있어 주목된다.
16일 보안업계에 따르면 최근 금융기관들이 ‘USB포트나 키보드-마우스 포트’ 등 사용하지 않는 통신포트를 강제로 봉쇄하는 '물리보안시스템'을 도입한 곳이 크게 늘고 있고 있다. 또 제품 제안 브리핑을 요청하는 기관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 컴엑스아이는 국내 주요 금융기관이 물리보안 시스템 도입에 관심을 갖고, 기술미팅과 제품 테스트, 시범 적용 등을 위한 제품 구매까지 끝마친 상태라고 밝혔다.
또한 대형 금융기관에서도 제안 요청을 받고 기술미팅과 샘플 테스트를 협의 중이며, 증권사와 제2금융 등 10여개 금융사로부터 제품 문의와 제안 브리핑 요청을 받은 상태라고 설명했다.
최근 금융기관이 물리보안 도입을 적극 검토하고 나선 것은 국민은행, 농협 등을 사칭하는 보이스피싱과 암호체계 업그레이드라며 금융정보를 요구하는 사이트가 급증하고 있다.
총선 이후 어수선한 틈을 노린 대규모 금융사고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SW보안의 한계와 방어효과가 눈에 보이는 물리보안 제품의 효용성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SW보안만으로는 내부자나 용역업체 직원의 실수와 고의적 인적범죄를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어렵다는 점도 금융권이 물리보안 도입을 서두르고 있는 요인이다.
보안업계는 지난해 18개 주요 은행의 IT보안 담당자가 121명에 불과한데 그나마 80%가 외부 용역사원으로 구성돼 있어 외주업체 직원이 금융기관 핵심 보안시설을 좌우할 수도 있는 실정이라며 우려하고 있다.
국내 금융업계는 5~7종 내외의 전문보안 SW패키지를 그물같이 엮어 운영하고 있으며, 통신포트를 포함한 모든 장치를 SW방식으로 원격 제어하고 무력화시키고 있다는 점을 들어 그동안 물리보안 시스템 도입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 왔다.
보안전문가들은 “해커의 침입으로부터 금융시스템을 보호하는 보안시스템은 창과 방패의 전쟁과 마찬가지다”며 “USB포트를 통한 바이러스형 해킹과 정보파괴 기술이 갈수록 교묘해지기 때문에 SW보안기술을 보완할 물리보안 시스템을 서둘러 도입해 입체적인 방어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고 지적했다.
컴엑스아이 안창훈 대표는 "최근 새마을금고가 정보통신기반시설로 지정되는 등 제2금융권도 제도권 내에서의 보안강화와 관리를 서두르고 있다"며 "뒤늦게나마 금융기관이 물리보안 시스템을 도입해 내부자 단속과 통신포트를 통한 해킹, 바이러스 유포 등 신종 범죄에 적극 대응하고 나선 것은 다행스런 일"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