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5공 시절을 풍미한 민정당이 쿠데타 정권의 첨병이었기 때문이었는데요. 정치적 정당성하고는 전혀 상관이 없는 당에서조차 강조하듯, 당원은 자신이 속한 정당에 일정 기간마다 규정에 따라 일정 금액을 내는 게 원칙입니다. 정당에 당비를 냈을 때 저 카드에 도장을 받음으로써 진정한 당원으로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최근 비례대표 부정선거 논란 속에 통합진보당의 ‘진성당원제’가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됐습니다.
진성당원은 정기적으로 당비를 내는 당원으로 국고보조금 등 재정의 외부 의존율을 낮추고 책임 있는 당원들의 투표권을 보장해 ‘직접민주주의’를 실현하자는 취지를 담고 있습니다.
하지만 당 안팎에서는 이런 진성당원제가 당권파의 조직 기반인 경기동부연합의 기득권을 유지하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심지어 근래에는 ‘유령당원’이라는 참담한 논란도 불거졌는데요. 당 내부에서 경선을 실시했는데 나중에 조사해 보니, 동일 IP(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로 투표한 당원 중 주민번호 뒷자리 일부가 일치하는 사례가 30건 정도 나오고, 충남 공주 선거구에서는 투표율이 100%를 넘기까지 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물론 당권파의 반론이 있기는 합니다. 일명 당권파인 통합진보당 이정희 대표는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어 “같은 지역 사람의 주민번호 뒷자리는 동일하거나 일련번호인 것이 주민번호 체계상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반박하기도 했습니다.
경선 과정에서의 부정 선거로 시끄러운 통합진보당 내분은 분당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지만 오는 12일로 예정된 중앙위원회가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 당이 빨리 조속한 정상화를 이뤘으면 하고, 이번에 처참하게 망가진 진성당원제 문제도 어서 정착이 됐으면 합니다. 어찌 보면 민정당 시절부터도 저렇게 상식처럼 받아들여져온 문제인데, 정착이 왜 이렇게 안 되는지 모를 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