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가장 마지막까지 탐구될 학문으로 흔히 심리학을 첫손에 꼽는다. ‘백인백색’이라는 말이 있듯 인간의 오묘한 마음을 연구하는 심리학은 개인과 집단, 사회 등으로 연구범위를 넓히고 있을 뿐 아니라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학문분야에도 활발하게 원용되는 등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인간심리의 불완전한 부분을 극적으로 활용한 것 중 하나가 바로 영화다. 영화는 착각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예술이다. 우리는 영화를 움직이는 것으로 느끼고 기억하지만 사실 우리가 보는 것은 빠른 속도로 영사되는 정지된 사진과 그 사진 사이에 끼어있는 어둠일 뿐이다.
연속된 동작의 정지된 사진을 1초에 24장씩 빠르게 보여줌으로써 우리는 그 사진이 움직이고 있다는 착각을 하게 된다. 이를 심리학에서는 ‘잔상효과’라고 한다. 영상이 실제 눈앞에 머문 시간보다 마음에 더 오래 남는 심리학적 현상이다.
잔상효과가 인간의 기억과 결부될 경우 종종 착시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같은 강도의 충격이라면 과거보다 최근의 것이 더욱 강하게 느껴지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인터넷의 출현을 고대 인류가 불을 발견한 것에 비교하곤 한다. 그러나 이것은 명백한 착각이자 의도된 과장이다. 불의 발견은 인류의 생존과 관련된 문제고 인터넷의 출현은 그저 편리를 강화한 것이기 때문에 비교 자체가 될 수 없다.
또 잔상효과에 의한 착시현상은 인간의 판단력을 흐리게 만드는 주된 원인이 되기도 한다. 부동산이나 주식이 오를 때는 한없이 오를 것 같으니 너나없이 뛰어들고, 반대로 떨어질 때는 모두 투매에 나서는 것 역시 잔상효과 때문이다.
2006년 정점에 이를 때까지 부동산, 특히 아파트 값은 끝없이 오를 것 같은 집단적 착각으로 인해 많은 국민들이 부동산 시장에 매달렸다. 그 결과가 1000조원 육박하는 막대한 가계대출이다.
증권가 격언 중 ‘달리는 말에 올라타라’든가 ‘대중이 가는 뒤안길에 꽃길이 있다’는 말이 있다. 이 것은 바로 잔상효과에 의해 집단적으로 오도된 사람들의 심리와 행태를 정확하게 역이용해야 함을 지적하고 있다.
![]() |
||
현명한 투자자라면 이 잔상효과를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과거 기억의 잔상이 현재 시점의 판단력을 흐리게 만들고 착시에 빠진 사람들이 한 곳을 향해 몰려갈 때 스스로 냉정한 분석력과 판단력으로 상황을 정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 뒤에 투자에 나서야 그 곳이 바로 진정한 꽃길이 될 것이다.
SK증권 조선기 분당지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