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올해 서울시 내 복지 일자리 9만개

서울시, 취약계층 복지일자리 창출위해 5540억원 투입

이혜연 기자 기자  2012.05.10 13:42:36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서울시가 올해 5540억원을 투입해 고령자, 장애인, 노숙인,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을 위한 복지일자리 9만개를 제공한다. 취약계층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자는 취지로 사회안전망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지난해 예산 4789억원 대비 800여억원이 늘어난 수치로, 일자리 수는 13% 증가할 전망이다.

서울시가 제공하는 취약계층 일자리를 부문별로 나눠보면 △고령자 일자리 5만2527개 △장애인 1만9511개 △노숙인 1만371개 △저소득층 6571개 △보건 1083개 등이다.

또한 서울시는 기존에 있는 종로구 고령자취업훈련센터를 포함해 오는 8월 은평구 녹번동에 1곳을 추가로 설립할 계획이며, 훈련생도 2292명에서 5320명으로 확대한다.

특히 기존 고령자 교육이 아닌 △보육 및 산후 도우미 △바리스타 교육 △교통조사원 △경비원 △조경관리 등 새로운 프로그램을 발굴해 운영할 계획이다. 고령자취업훈련센터 이외에도 시니어클럽을 추가로 지정하며, 오는 9월 시니어 일자리 엑스포를 열어 취업성공사례와 상담을 실시한다.

장애학생들에게는 서울시교육청과 협력해 크라제버거, 롯데리아 등 120개 업체와 직장체험 인턴십을 실시한다. 또한 일반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국프랜차이즈협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해 에듀박스, 알파 등 총 19개 회사에 560명의 장애인을 시범으로 채용한다.

장애인직업재활시설도 오는 7월까지 2곳을 추가 지정해 총 4곳에서 운영할 방침이다. 현 서울시는 기존의 3.95% 장애인고용률을 오는 2014년까지 4.2%로 확대시킬 예정이며, 서울시공무원 신규채용 시 장애인 채용비율을 10%로 정해 매년 85여명을 채용한다.

이밖에도 노숙인은 서울시립 양평쉼터에 영농학교를 설립해 4~10월간 영농기법을 훈련시키고, 200명의 노숙인을 대상으로 운전면허, 컴퓨터, 도배 등 취업필수 자격증 취득 프로그램을 신설해 1인당 100만원 내로 지원한다. 자격증을 취득했을 시 고용지원센터와 연계해 취업을 돕는다.

서울시는 △고용노동부, 서울지방중소기업청 등 10개 기관이 참여하는 노인일자리 협의체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장애인고용공단, 생산품판매시설 등이 참여하는 민·관 파트너십 협의체 △노숙인분야 학계, 민간현장 전문가가 참여하는 노숙인 일자리 TF(Taskforce)를 구성해 운영한다.

서울시 김경호 복지건강실장은 “최근 사회양극화가 심화돼 고용률이 하락하면서 그 피해가 사회적 약자에게 집중되고 있다”며 “서울시가 사회적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을 위해 복지와 일자리를 동시에 제공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