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연초에 어둡던 산업기상도가 2분기에는 다소 밝아졌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최근 12개 업종별 단체와 공동으로 ‘2012년 2분기 산업기상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연초에는 경기전망이 나쁜 업종이 좋은 업종보다 8:4 비율로 많았지만 2분기에는 4:8로 역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통신·자동차 ‘맑음’
정보통신업종은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판매 호조가 계속되고 OLED 디스플레이시장도 확대될 전망이다. 7월에 개최되는 런던올림픽 특수도 기대된다.
자동차는 FTA 효과로 EU지역에 이어 미국시장에서도 수출증가가 예상된다. 내수판매의 경우 고유가 부담은 있지만 자동차에 대한 개별소비세 인하(2000cc 이상 2%p)와 주력차종 후속모델의 신차출시효과도 기대되고 있다.
◆반도체·유화·섬유·의류는 회복세 보이며 ‘구름조금’
반도체는 스마트폰 신모델 출시로 시스템반도체 판매 호조가 계속될 전망이며, 메모리반도체의 경우 일본 엘피다社 파산과 대만업체 감산 등의 영향으로 공급과잉국면이 점차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화업종은 전자, 섬유 등 전방산업의 업황이 호전되고 폴리스틸렌, 에폭시수지 등 대미 수출품목의 관세(6%대)가 철폐되면서 경기호전이 기대되지만 중동산 저가품 공세와 중국 수요의 감소 등으로 경기의 본격회복은 어려울 전망이다.
섬유는 신흥국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는 가운데 한미 FTA로 평균 13%에 달하는 미국의 섬유관세가 철폐돼 대미수출이 증가 될 것으로 보이고. 내수부문에서도 고품질과 고부가가치 제품의 개발로 후발국 제품과 차별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의류는 나들이 시즌을 맞아 아웃도어 판매가 증가될 전망이다. 에잇세컨즈(제일모직), 메이폴(세아상역) 등 국산 SPA브랜드가 다수 출시되고, 4월부터 브랜드세일, 백화점 정기세일이 예정되어 판매호조가 예상된다.
◆기계·정유 ‘구름조금’
기계업종은 동남아, 중남미 신흥국들의 경제개발수요가 계속되는 가운데 공작기계 등 고관세품목을 중심으로 FTA수혜가 기대될 전망이지만 설비투자와 건설경기 위축의 영향으로 경기가 활황세를 보이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정유의 경우 중국, 동남아 등 주요 수출시장의 석유수요가 꾸준하고, 일본과 대만 정유사의 생산차질에 따른 반사이익도 2분기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그러나 유가의 고공행진과 동절기 난방유 수요급감 등이 경기상승을 제약할 전망이다.
◆철강 ‘흐림’
철강은 건설, 조선 등 전방산업의 업황이 부진한 가운데 중국경제의 성장률 둔화로 철강재수요가 줄면서 경기부진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동절기 동안 위축되었던 건설경기가 성수기를 맞고, 자동차, 기계부문의 철강수요도 꾸준하게 이어져 경기가 더 이상 악화되지는 않을 전망이다.
◆조선·건설·제약 ‘비’
조선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 저가수주한 선박들의 건조·출하가 계속되고, 해운시황 약세로 선박인도 연기사례가 발생하는 등 경기부진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다만 유가상승국면이 장기화되면서 드릴쉽, FPSO(부유식 원유 생산, 저장 및 하역설비) 등 해양플랜트와 LNG운반선 신규수주가 점차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건설경기는 부동산시장 침체로 주택건설 경기가 위축된 가운데 SOC투자나 대형국책사업마저 감소해 침체국면을 벗어나기 힘들지만 해외 건설경기는 중동과 동남아, 중남미 신흥국들로부터 발전소, 정유플랜트 등에 대한 개발수요가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제약업종은 4월부터 시행되는 약가 일괄인하조치(평균 14%)로 2분기 매출감소가 불가피하고, 한미 FTA의 영향으로 미국 의약품 수입이 늘고 복제약 출시가 지연될 것이라는 점도 향후 제약업 경기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한편 대한상의는 향후 경기회복에 장애가 되는 4대 암초로 ‘고유가 부담’, ‘중국경제 경착륙 우려’, ‘스페인 디폴트 리스크 등 유럽재정위기 심화 가능성’, ‘엔화가치 하락기조’ 등을 꼽고 유류세 인하 등의 대응조치를 주문했다.
정부의 휴일근무 제한방침에 대해서도 휴일근무수당 축소를 둘러싼 노사갈등과 중소기업 납기애로를 유발할 것이라면서 시행유보를 촉구했다.
업종별 주요 현안으로는 △콩고 등 분쟁지역 생산광물의 미국내 사용규제(전자, 자동차 등) △중국 등 외국산 불법 철강재의 국내 유통과 안전사고 가능성(철강) △수출입은행의 신용공여한도 규제(자기자본의 40%)로 인한 선박수주경쟁 관련애로(조선) △뉴타운 정비·해제, 재건축규제 강화 등 서울시 주택정책 변화에 따른 사업차질(건설업종) 등을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