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남편과 부인이 둘 다 일을 하는 일명 '맞벌이'를 해도, 가계 소득 증가에 뚜렷한 효과가 나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LG경제연구원 '한국 맞벌이, 가사노동 시간이 부족하다' 보고서는 맞벌이 가구 소득은 외벌이 가구보다 15% 높은 데 그치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 보고서는 한국의 맞벌이 여성들이 장시간 근로 탓에 가사노동의 시간이 부족해지고, 이 때문에 소득 증가폭이 제한되는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식사준비를 할 시간이 없어 외식하거나 아이를 돌볼 사람이 없어 육아도우미를 고용함으로써 외벌이보다 한 달 평균 20만원을 더 써야 한다.
가사노동을 포기하는 만큼 눈에 보이지 않는 효용도 감소한다.
보고서는 이런 현실 때문에 맞벌이 가구가 외벌이 가구에 비해 한달 약 70만원의 효용을 손해본다고 분석했다. 이를 고려, 보고서는 맞벌이와 외벌이의 소득 격차는 겨우 15%에 불과하다는 추산을 제시했다.
부부가 함께 벌어도 혼자 일하는 가구에 비해 실질 소득 수준이 크게 높지 않은 것이다. 미국은 같은 계산법을 적용해보면 맞벌이가 외벌이보다 50%나 더 버는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이런 격차는 한국 여성의 낮은 임금수준과 장시간 근로 때문인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LG경제연구원은 정부의 보육비 지원 정책이 한시적 도움은 될 수 있으나 근본적으로는 장기간 근로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며 시간제 근무, 유연 근로제 등 탄력적 근무방법의 도입을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