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1. 대구에 있는 반도체 제조업체 A사는 휴일근무가 제한될 경우 거래처를 잃게 되지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주말에 일을 못하면 원료가 들어있는 상태에서 기계를 세워야 하고 월요일에 재가동하려해도 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차질이 불가피하다”며 “신규채용을 하자니 원가가 올라 거래처를 중국 업체에 뺏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2. 김해의 자동차부품 생산업체 C사는 휴일근무 제한이 인력난을 가중시키지 않을까 걱정이다. C사 관계자는 “휴일근무를 제한하면 잔업시간이 줄어 급여도 줄게 된다”면서 “급여가 줄어들면 당장 입사하려는 사람이 없어지고 결국 생산직 근로자를 구하기 어렵게 될 것”이라고 하소연했다. C사는 “생산직 근로자는 기본적으로 잔업이 많은 회사를 원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다수 제조업체가 주 12시간까지 허용되는 연장근로 한도에 휴일근무를 포함시키려는 정부 방침에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대다수 제조업체는 정부의 연잔근로에 휴일근무 포함시키는데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
반면 ‘타당하다’는 답변은 16.0%로 지금까지는 주당 12시간의 연장근무 외에 토·일요일 각 8시간씩의 휴일근무를 허용하고 있었다.
기업들은 정부 방침이 휴일근무를 할 수밖에 없는 업계 현실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실제 응답기업 70.0%는 ‘납기일을 맞추기 위해’, 23.3%는 ‘업종 특성상 휴일근무가 불가피해서’ 휴일근무를 시행한다고 답했으며, ‘인력이 항상 부족’ 3.8%, ‘휴일특근 수당을 받으려는 직원 때문’ 2.9%로 휴일근로를 한다는 응답은 많지 않았다.
또, 매 휴일마다 일하는 제조업체는 그리 많지 않았다. ‘주문량 증가 등 특별한 상황이 발생할 때만 휴일근무를 한다’는 68.1%로 ‘매 휴일마다 일한다’는 23.3%보다 44.8%p 높게 나타났다.
기업들은 휴일근로를 제한하면 ‘납품물량·납기일을 못 지켜 거래처를 잃거나’ 45.7%, ‘인건비 상승으로 제품원가가 높아져 기업 경쟁력이 낮아질 것’ 42.5%로 전체적으로 우려의 목소리를 나타내는 기업이 많았다. 이어 ‘신규 채용이 어려워 인력난이 가중’ 39.9%, ‘생산시설 해외이전 혹은 해외생산 비중 확대’ 12.8% 등의 부작용이 따를 것으로 예상했다.
결국 대다수 제조업체들은 생산차질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현재의 생산량 유지를 위한 신규채용이나 설비투자도 여의치 않다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응답기업 가운데 81.8%가 경영여건상 신규채용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응답했고 추가적인 설비투자가 어려운 형편이라는 기업도 87.2%에 달했다.
기업들은 휴일근로가 제한되면 근로자의 임금도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64.2%의 기업이 ‘근로자의 임금이 다소간 줄어들 것’이라 답하고, ‘매우 많이 줄어들 것’이라는 의견도 20.1%나 됐으며, ‘임금에 변화가 없을 것’이란 응답은 15.7%에 그쳤다.
업체 관계자는 “임금 삭감 시 근로자들이 이를 쉽게 수용하지 않을 것이란 예상이 76.4%를 차지해 휴일근로 제한이 강행될 경우 노사관계 악화의 불씨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바람직한 근로시간 단축 추진방향에 대해서는 많은 기업들이 ‘개별 기업의 사정에 맞게 자율적인 추진’이 44.1%, ‘노사정 간 충분한 논의를 거친 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35.1% 로 조사됐다. 이어 ‘휴일근로 제한은 시기상조이므로 논의를 중단해야 한다’는 응답도 19.5%에 달했다.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근로시간을 점차 줄여 나가야 한다는 방향에는 경제계도 공감하고 있다”고 전제하면서도 “휴일근로를 연장근로에 포함하는 문제는 기업의 경쟁력과 근로자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이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노사정간 충분한 논의를 거쳐 중장기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