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윤용로 외환은행장이 을지로 본점으로 처음 출근하던 지난 2월20일 노조 측은 장미꽃 한 다발을 선물했다. 당시 꽃다발을 받아든 윤 행장은 “장미꽃처럼(외환은행을) 활짝 피우도록 노력하겠다”고 화답했다(장미는 외환은행 행화다). ‘온화한 리더십’, ‘순발력’ 등이 외환은행의 새 사령탑을 맡은 윤 행장을 대표하는 수식어다. 하지만 윤 행장은 날카로운 감각의 소유자이기도 하다. 장미처럼 꽃과 가시를 모두 가진 윤 행장이 어떤 인물인지 간략히 살펴봤다.
론스타 논란에 얽혀 행장에 내정된 뒤 약 1년이 흐른 뒤에야 정식 출근한 윤 행장은 22일 서울 을지로 본점 4층 대강당에서 취임식을 열고 24대 외환은행직에 올라 향후 5년간 하나금융그룹측이 보장한 독자경영의 주요 부분을 장식하게 됐다.
![]() |
||
외환은행 노조와 하나금융의 본격적인 대립은 하나금융이 론스타와 외환은행 인수 협상을 벌이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부터다. 노조는 2010년 12월부터 대규모 거리 행진, 인수 중단 촉구 100만인 서명운동, 여의도와 명동 야외집회, 언론매체 광고 등 다양한 방법으로 피인수 반대 투쟁을 벌였다.
급기야 노조는 총파업을 선언한 채 하나금융과의 협상 테이블에 앉았다. 파국을 막아야 한다는 공감대를 형성한 하나금융과 외환은행 노조는 협상 12일만인 2월17일 새벽, 5년간 외환은행 독립법인 유지 등 핵심 쟁점사항에 합의했다. 윤 행장의 온화한 리더십은 빛을 발하는 순간이었다.
◆IBK에서 쌓은 노하우로 외환은행 옛 영광 되찾을까?
윤 행장은 취임사에서 “추운 날씨에도 지하철역에서 설명자료를 나눠주던 차가왔던 직원의 손, 삼보일배로 몸이 지쳐도 은행에 대한 열정으로 이겨내던 외환 직원들의 얼굴을 똑똑히 보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직원들의 고통과 아픔이 많았을 것임을 잘 알고 있다”며 직원들을 보듬었다.
위로에 이어 핵심역량 회복을 주문했다. 윤 행장은 이날 외환은행이 전통적으로 강점을 보여 왔던 분야에서 최근 몇 년간 큰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며 새로운 경영전략 방향을 제시했다.
윤 행장은 “하나은행과의 선의의 경쟁을 통해 경쟁력과 수익성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고 직원들을 독려했다.
외환은행은 1967년 특수은행으로 출발했다. 외국환거래와 무역금융을 전문으로 하는 은행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1989년 일반은행으로 전환하고, 외환업무를 바탕으로 한 기업금융에 강점을 지닌 은행으로 발전하다가 외환위기 여파로 경쟁력이 한풀 꺾였다. 2003년 사모펀드 론스타에 인수당하며 이미지는 끝없이 추락했다.
윤 행장은 외환은행의 해외영업과 외국환, 기업금융이나 신용카드 등 핵심역량분야의 동력을 회복시켜 옛 영광을 되찾아야 할 과제를 떠맡았고, 이런 점이 현재 외환은행에 필요한 전략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외환은행 임직원들의 박탈감과 상처 입은 자존심을 치유하는 일도 과제로 남아있는데, 이러한 어려운 상황을 잘 도닥이면서 성과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