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이르면 오는 2013년부터 전국 교통카드 호환이 보다 편리해진다. 코레일이 준비 중인 ‘글로리정산센터’가 순조로운 출발을 알린 터다. 글로리정산센터는 코레일의 자체 교통카드 시스템. 올 하반기 시험운영을 거쳐 본궤도에 오를 예정이다. 하지만 최근 이를 두고 서울시와의 마찰이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완벽한 사업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조율이지만 서울시의 일방적인 딴죽이라는 게 코레일의 설명이다. 궁금한 속사정을 살펴봤다.
코레일 글로리정산센터는 전국호환용 교통카드와 운임징수장치, 운임정산센터로 구성된 자체 교통카드 시스템이다. 지난해 10월 삼성SDS 컨소시엄을 사업자로 선정해 시스템 분석과 설계에 돌입했다.
이번 사업의 총사업비는 약 300억원 규모. 코레일은 정부의 교통카드 전국 호환 추진정책에 적극 앞장설 방침이며, 올 상반기 시스템을 구축하고 하반기 시험 운영을 거쳐 2013년 초 마무리한다.
코레일에 따르면 ‘글로리정산센터’는 수도권을 비롯한 강원, 충청권과 부산, 경남권 등 전국으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광역철도망에 정확한 영업정보를 토대로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교통카드 환승 등 정산의 투명성을 확보해 대중교통 이용 서비스의 질적 향상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또 일명 ‘글로리카드’로 불릴 코레일 교통카드는 특히, 정부가 추진 중인 ‘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거한 전국 표준 보안응용모듈(SAM)을 적용했다. 때문에 지역 간 호환에 문제가 있는 현재의 교통카드 시스템과는 다르게 지역 간 호환도 용이하다.
그간 코레일은 교통카드 운임정산을 (주)한국스마트카드에 연간 70억원의 각종 수수료를 지급하며 위탁 운영했지만, 올해 말 계약이 만료됨에 따라 자체 정산센터 운영에 뛰어들었다.
◆“코레일이 고객 다 빼앗아”
계획대로라면 내년부터 사실상 전국 호환용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최근 서울시가 글로리정산센터 내용 중 일부가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하는 등 제동을 걸고 있다.
서울시의 지적은 ‘글로리정산센터’의 호환시스템에 관한 조율 문제다.
서울시는 코레일이 내용 중 한국스마트카드와 올해 말 계약기간 종료 시 별도 시스템 구축에 관한 협력을 분명히 하며, 서울시도 코레일이 정산센터를 구축하면 공식적으로 적극 협조할 것으로 밝혔지만 “협조한 바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게다가 서울시는 수도권 등 한국스마트카드가 있는 만큼, 글로리정산센터의 이번 사업을 중복투자로 간주하고 있다.
간단해 보이지만 사안에 따라 결과는 천차만별일 공산이 크다. 서울시의 주장은 현재 모든 운송정보는 한국스마트카드에서 통합 정산되고 있지만, 서울시 산하 서울시도시철도공사 등에서 보유한 운송정보를 공유할 수 없다는 것.
코레일 글로리정산센터에 크나큰 차질을 불러올 수 있는 대목으로 풀이할 수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코레일 글로리정산센터는 중복투자가 맞다”며 “서울시가 코레일에 공식적으로 정산센터에 대한 협조를 한 적은 없다”고 분명히 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정산센터 협조는 코레일이 서울시의 영업 비밀을 알게 되는 것으로, 손님을 빼앗으려는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스마트카드의 최대주주는 서울시로 3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어 LG CNS가 31.85%로 2대주주로 올라있다.
◆코레일 “서울시 주장 당황스럽다”
서울시 입장에 코레일도 당황스럽기는 마찬가지다. 이미 공문을 통해 약속된 바 있는 내용을 왜 이제와 부정하는지 알 수 없다는 분위기다.
앞서 코레일은 중복투자와 관련해 한국스마트카드는 수도권의 대중교통 운임 정산을 위해 설립된 반면, 코레일의 전국 철도망은 철도망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시스템 운영이 주목적으로 사업 취지와 적용 범위가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밝혔다.
게다가 코레일은 한국스마트카드의 독점을 영구적으로 고착화할 것인지 생각해볼 것을 피력했다.
정산사이면서도 원시자료를 제공하지 않아 투명성을 확보하지 못했고, 시스템을 독점하다보니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송기관들이 열세적인 위치에서의 운영이 불가피한 상황이란 주장이다.
정산센터 협조에 대해 코레일은 현재 교통카드시스템은 지난 2004년 서울시가 설치한 것으로, 당시 서울시는 코레일의 동의를 구하지 않고 코레일 구간을 포함해 LG CNS를 사업자로 선정했다고 설명.
이에 코레일은 이의를 제기했고, 서울시는 지난 2004년 2월4일 공문에서 우선 서울시 시스템을 이용하고, 향후 코레일이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적극 협조하겠다는 약속을 했다고 밝혔다.
코레일의 전국호환용 교통카드 시스템 ‘글로리정산센터’ 구축이 이르면 2013년 완료된다. 하지만, 최근 서울시가 교통카드 환승 등 영업정보 누출 등의 이유로 불협화음을 빚고 있다. 사진은 한국스마트카드의 T-머니. 서울시는 한국스마트카드의 최대주주다. |
아울러, 코레일은 서울시가 운운한 고객 채가기 발언에 대해 우선 상식적으로 영업비밀인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코레일 관계자는 “예를 들어 일산에서 승차해 강남역으로 갈 경우, 수익은 코레일과 서울메트로가 나눠 가지게 된다”며 “서울메트로와 도시철도는 코레일 전철과 경합되는 노선이 없는 등 오히려 보완관계라는 게 지금까지 운송기관간 공통된 입장이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서울메트로를 포함한 도시철도 6개 운송기관은 어느 일방의 자료거부 시 운임정산이 불가능해지므로, 지난 2010년 12월29일 ‘연락운송협정’을 체결하고 자료제출 요구를 받은 상대방 운영기관은 지체 없이 이에 응해야 한다고 명시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