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LG그룹이 올해 총 16조4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LG는 올해 재도약을 위한 내실 다지기 및 중장기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필요한 부분에 자원을 집중한다는 차원에서 이번 투자를 결정했다.
![]() |
||
올해 총 16조4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인 LG. 그룹은 올해 총 1만5000명 규모의 채용도 실시한다. |
◆전략적 시설투자에 11조5000억원
이러한 가운데 LG는 지난 2010년부터 올해까지 3년 연속 연간 15조원 이상의 과감한 ‘선행투자 기조’를 이어 전자·화학·통신서비스 등 주력사업 분야에서 시장을 선도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중장기 성장동력 육성 등 미래 준비도 철저히 할 방침이다.
세부적으로 올해 시설투자는 기존 주력제품의 수요 확대에 스피드 있게 대응하는 동시에 긴 호흡을 갖고 차세대 제품의 시장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해 11조5000억원을 전략적으로 투자, R&D에도 주력 제품, 서비스 차별화와 원천기술, 융복합 기술 개발을 위해 사상 최대 규모인 4조9000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시설투자의 경우, 전자부문에서 지난해 비중이 높았던 8세대 LCD 공장 건설 등 대규모 투자가 완료단계에 들어감에 따라 8세대 장비 등 후속투자를 진행하는 한편, 터치패널과 OLED 등 차세대 제품 양산을 위한 투자도 진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LG는 LED 조명, 수처리, 전기자동차 부품 등 신성장 동력 분야 육성도 가속화 한다.
화학부문에서는 전기차 배터리와 LCD 유리기판 등 대형 신사업 분야와 고성능합성고무 등 성장성이 높은 고부가 석유화학 제품 투자를 확대한다.
통신서비스부문에서도 지난해에 이어 4세대 LTE 전국망 조기 구축과 해외자원개발 사업에 집중 투자할 예정이다.
◆R&D에 사상 최대 4조9000억원
R&D투자는 융복합 기술 등 고객가치를 차별화할 수 있는 중장기 R&D를 강화하는 차원에서 사상 최대 규모인 4조9000억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LG전자는 LTE 스마트폰 신제품 개발, LTE 선행기술 개발,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개발 등에 R&D투자를 집중하는 한편, 스마트TV와 스마트폰 차별화를 위한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 및 친환경 고효율 제품 개발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화학부문에서는 LG화학이 주행거리는 대폭 늘리면서도 생산원가는 대폭 줄이는 고용량 배터리 셀과 OLED 소재 개발에 주력한다.
통신서비스부문에서도 유무선 통신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미디어 및 광고, 교육, 스마트 헬스케어 등에서 새로운 탈통신 서비스 개발에 집중한다.
LG는 지난해 파주 8세대 LCD 및 LCD 유리기판, LED 공장과 오창 전기차 배터리 공장 등 대규모 국내투자를 중심으로 19조4000억원을 집행했다.
한편, LG는 올해 대졸 7500명(신입 6000명, 경력 1500명), 기능직 7500명 등 1만5000명을 채용할 계획이다.
특히, 청년실업 해소를 위해 고졸 채용규모는 기능직 7500명 중 76%에 달하는 5700명을 채용해 작년 수준을 유지하고 대졸의 경우 신입사원의 채용 비중을 지난해 70%에서 올해 80%로 높이기로 했다. LG는 지난해 1만7000명을 채용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