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광주지역농협민주노동조합은 12일 성명서를 내고 지역농협 간 신용사업 위주의 경쟁과 성과위주 농협경영을 질타했다.
농협노조는 최근 비아·서창농협에서 발생한 가산금리 조정으로 인한 부당이득 취득 등의 사태는 농협중앙회의 지도감독 부실로 인한 결과라고 주장했다.
노조는 “농협중앙회는 가산금리 문제점을 사전에 인지하고도 지역농협에 지도를 하지 않았고 이번의 경우 특별감사를 실시하고 문제가 확대될 것 같아 농협중앙회가 방치하다가 사건이 더욱 일파만파로 번지고 말았다.”고 말했다.
농협노조는 “이 사건을 수습하고 책임져야할 농협중앙회는 자신들의 문제점을 덮어버리기 위해 지역농협노동자들을 희생양으로 삼으려 하고 있다.”며 “사건발생 농협 임직원 58명에 대해 징계에 돌입한다고 언론플레이를 하고 있는 것을 보면서 과연 징계의 대상이 누구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비난했다.
또한 “이번 사건을 덮어버리려 한 농협중앙회가 징계할 자격이 있는지 묻고 싶다.”면서 “이번 사건의 핵심은 가산금리 조정인데 가산금리 조정을 직원들이 할 수 있는 사안인가”라고 꼬집었다.
농협노조는 “이번 사건은 비아농협 임원들이 책임져야할 사안이지 직원들까지 대상으로 징계를 논의할 사안이 아니다”며 “농협중앙회가 징계할 타당한 사유도 없으면서 직원들을 징계한다면 광주지역농협민주노동조합은 법률적인 검토를 통하여 강력하게 대응할 것이다”고 말했다.
◆농협중앙회, 임직원 58명 징계위원회 회부 ‘빈축’
이와 관련 농협중앙회는 금리인상 방침 결정자와 결재라인, 대출업무자, 단순가담자 등 관련된 두 곳의 농협 임직원 58명을 징계위원회에 회부했다.
하지만 조합장과 이사회가 결정한 방침에 대해 따를 수밖에 없는 힘없는 다수 직원들에게 책임을 떠넘겨 희생양으로 삼으려한다는 비난이 동반되고 있다.
진보신당 광주광역시당도 이날 성명을 내고 “지역농협에서 무려 3년 동안이나 이러한 불법행위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감독권한이 있는 농협중앙회가 그동안 방치하다가 사건이 확대되자 무소불위의 조합장과 이사회가 결정한 방침에 대하여 따를 수밖에 없는 힘없는 다수 직원들에게 책임을 떠넘겨 희생양으로 삼으려는 비열한 꼼수를 추진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진보신당은 “이번기회에 검찰은 지역농협의 관행적인 비리행위는 물론이고 지역농협 조합장과 농협중앙회, 농협중앙회와 정부관료 및 권력층의 커넥션 등에 대해 전면적인 수사를 실시하여 비리 백화점인 농협의 실태에 대해 낱낱이 파헤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농협이 농민과 농촌의 현실에 대해 외면할 수밖에 없는 구조가 무엇에 근거하는지 정확한 파악이 이루어져야만 근본적인 개혁이 가능하고 그 개혁의 방향은 농협이 일개 금융기관이 아닌 농민의 삶을 개선하고 농촌의 공동체를 복원하는 공공적 성격을 강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