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보배 기자 기자 2012.01.10 12:36:44
[프라임경제] 한나라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이 목소리를 높였다. 총선 3개월을 앞두고 전당대회 돈봉투 논란이 일파만파 커지면서 한나라당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바닥으로 떨어진 이유에서다.
지난 9일 박 위원장은 비공개로 진행된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구태’라는 단어를 여러번 언급하는 등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는 당헌·당규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당 황영철 대변인에 따르면 박 위원장은 이날 회의 말미에 당의 잘못된 관행과 관련해 “지난 2004년 박 위원장이 비대위원장으로 취임한 이후 만든 당헌·당규를 제대로 지키지 못해 당의 기강이 흔들린 것”이라면서 “당규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당규에 있다면 지켜야 할 것이다. 칼같이 했으면 한나라당이 이렇게 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이날 비대위원회는 돈봉투 사건과 관련해 고승덕 의원에 의해 확인된 사안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해서 나온 증언들에 대해 검찰의 성역없는 수사를 촉구하고, “책임있는 사람은 책임있는 행동을 보여달라”고 강조했다.
![]() |
||
한나라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회는 당헌·당규를 제대로 지키지 못해 한나라당의 기강이 무너졌다고 지적하면서 초강도 쇄신을 예고했다. |
한나라당 비대위가 이렇게 강경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돈봉투’ 사건을 비롯해 향후 각종 비리사건에 연루된 의원에 대해 당헌·당규에 따른 칼 같은 처벌을 예고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박 위원장은 과거 당 대표 시절 수뢰혐의로 구속된 박혁규 전 의원에 대해 당원권 정치를 결정하고, 1심에서 유죄판결을 받은 기초단체장과 도의원 총 4명에 대해서도 1년간 당원권을 정지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때문에 정계 일각에서는 대대적인 고강도 인적 쇄신을 예상하고 있다. ‘돈봉투’ 사건과 관련된 인사는 당내 정치적 입지와 계파를 불문하고 구태정치에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게 할 것이라는 추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