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뉴욕증시는 미국기업들의 실적시즌에 대한 기대감으로 소폭 상승했다. 낮아진 눈높이를 고려했을 경우 시장의 기대치를 충족시키기에 무리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9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2.77포인트(0.27%) 오른 1만2392.6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2.89포인트(0.23%) 상승한 1280.70을, 나스닥 종합지수는 2.34포인트(0.09%) 뛴 2676.56을 기록했다.
미국 주요 지수가 호조세를 보임에 따라 투자심리는 다소 개선됐다. 알루미늄업체인 알코아가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장 마감 이후 예상치에 부합하는 실적을 내놓으면서 시간외에서도 소폭 상승세를 보였다.
미 기업들의 실적시즌 첫 시작은 양호하게 출발했으며, 기업들의 실적 눈높이가 낮아진 상황이므로 기대를 충족시키기에 무리가 없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미국 11월 소비자 신용은 203억달러 기록해 당초 예상치(70억달러)를 크게 상회, 10년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채 수익률은 소폭 하락했다. 여전히 달러화 표시 자산에 대한 높은 선호도가 표출되고 있는 셈이다.
독일의 앙겔라 메르켈 총리와 프랑스의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갖고 유럽재정안정메커니즘(ESM) 출범을 예정보다 앞당길 수 있다고 밝혔으나 추가 대책은 나오지 않았다.
프랑스의 11월 무역수지는 44억유로 적자를 기록, 시장의 예상치인 60억유로 적자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77억 유로 규모의 1년 이하 단기채권 발행을 비교적 성공적으로 마쳤다.
독일의 11월 수출은 2.5% 증가해 예상치인 0.5%를 훨씬 웃돌았다. 독일 국채는 처음으로 마이너스 금리에 매각됐다. 연방금융청은 6개월 만기 단기국채를 39억유로 규모로 마이너스 0.0122%에 매각했다고 발표했다. 독일 채권에 대한 투자자들의 강한 믿음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