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대우조선해양이 인도네시아 국방부 및 해군과 잠수함 계약 체결을 위한 협상에 착수했다.
이번 잠수함 프로젝트는 1400톤 규모의 잠수함 3척을 건조하는 사업으로 총 사업 규모는 약 1조2000억원(미화 약 11억달러)에 달하며, 향후 계약이 성사될 경우 이는 역대 방산수출 단일계약 사상 가장 많은 금액이다.
대우조선해양과 인도네시아 국방부 양측은 잠수함의 세부적인 기술사양과 계약내용 등의 실무적인 조율을 거쳐 오는 11월까지 최종 계약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이 잠수함은 대우조선해양이 1990년대 초 독일로부터 기술을 전수받아 209급(1200톤급) 잠수함을 건조한 이래 지속적인 기술 발전을 통해 수출용으로 독자 개발한 1400톤급 잠수함이며, 각종 어뢰, 기뢰, 유도탄 등을 발사할 수 있다.
특히, 잠수함은 조립부품이 많고 건조기간이 길기 때문에 고도의 건조 기술력과 노하우를 필요로 한다. 때문에 이번 프로젝트는 세계적인 잠수함 건조 강국인 프랑스와 독일, 러시아 등을 제치고 이뤄낸 성과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 |
||
대우조선해양이 건조한 209급 잠수함 시운전 모습. |
또한 이명박 대통령과 유도요노(Susilo Bambang Yudhoyono) 인도네시아 대통령간 깊은 신뢰 속에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양국간 우호적인 협력관계도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이번 사례는 국방부, 지식경제부, 외교통상부, 방위사업청, 방산물자교역지원센터, 해군 등 민·관·군이 혼연일체가 돼 잠수함 건조 강국들을 압도한 성공사례로 평가 받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현재 인도네시아·태국·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주요 국가들의 지리적 특성으로 해군력을 증가시키는 추세”라며 “이번 프로젝트는 동남아 지역 잠수함 시장에 중요한 거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한편, 대우조선해양은 현재 중남미·동남아 지역의 각국 정부들과 잠수함 및 수상함 수출 사업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까지(이번 프로젝트 제외) 총 11척의 잠수함을 수주했으며, 잠수함 건조 수준의 기술을 요하는 성능개량 및 창정비도 국내 15척, 해외 2척의 실적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