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말라리아 발생 1위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말라리아 감염 위험 혈액에 대한 검사가 이뤄지지 않은 채 수혈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희목 의원이 대한적십자사와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말라리아 감염 위험 혈액이 헌혈 과정에서 걸러지지 않고 채혈되고 있으며 이들 혈액이 수혈되거나 혈액제제에 사용됐다. 이 때문에 대형 혈액사고가 터질 수 있다는 위험성이 제기됐다.
현재 헌혈 혈액에 대한 말라리아 검사는 전혀 실시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혈액관리시스템 미비로 1997년부터 2008년까지 수혈로 인한 말라리아 감염 사례가 12건에 달했다. 또 말라리아 감염 위험이 있는 헌혈부적격자들이 헌혈한 건수가 2009년 이후 올해 8월까지 2064건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말라리아는 수혈감염 위험이 높지만 법적으로 간염이나 에이즈처럼 헌혈 혈액 검사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사전 문진에 의존해 헌혈부적격자를 걸러내고 있다.
이에 대해 원희목 의원은 “헌혈자들이 국내외 말라리아 위험지역을 여행했거나 병력이 있는 것을 문진할 때 말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헌혈 과정에서 이를 걸러내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헌혈 후 적십자사가 알게 되는 경우도 대부분 헌혈자 본인이 알려오는 경우에 의존하고 있었다. 헌혈자가 알려주지 않으면 부적격 혈액인지 모른 채 혈액은 유통될 수밖에 없다. 또 헌혈 후에 말라리아 검사에서 양성임이 드러나 질병관리본부의 통보로 인해 알게 되는 경우도 있다.
원 의원은 “어찌됐던 적십자사는 ‘헌혈 과정’에서가 아니라 ‘헌혈 이후’에, 그것도 불완전하게 말라리아 혈액을 걸러내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헌혈 혈액 말라리아 검사 및 사후 검체 검사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말라리아 위험지역에 거주 또는 여행한 헌혈부적격자의 혈액은 헌혈 이후 헌혈부적격자임이 밝혀져도 ‘보관 검체’ 검사를 하고 있지 않다”며 “사전 검사뿐만 아니라 적절한 사후조치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