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한국거래소가 2005년 설립 이후 현재까지 6년 연속 고수익을 내면서 고배당을 유지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30일 국회 정무위 소속 유원일 의원(창조한국당)이 한국거래소로부터 제출받은 '2005년 설립 이후 한국거래소 당기순이익 및 배당내역'에 따르면 거래소는 2005년 954억원이던 당기순이익이 2010년에는 2839억원으로 3배(298%) 가량 증가했다.
2005년 당시 거래소는 당기순이익 954억원 가운데 186억원(배당성향 19.5%)을 배당했으나 2010년에는 당기순이익 2839억원 중 812억원(배당성향 28.6%)의 고배당을 실시했다.
이는 배당금증가율(437%)이 순이익증가율(298%)을 상회한 것으로 배당성향도 2010년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평균인 16.25%를 훌쩍 넘어섰다.
회사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액면배당율은 2005년 주당 950원으로 19%에 불과했으나 2010년에는 주당 4220원으로 무려 84.4%나 폭증했다. 이는 2005년에 비해 4배 이상(444.2%) 오른 수준이다.
유 의원은 거래소가 이처럼 높은 당기순이익과 고배당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높은 영업수익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개인과 기관들이 거래 때 내는 거래수수료는 영업수익에서 82.2%의 비중을 차지한다.
거래소가 제출한 '최근 4년간(2008년~2011년 8월말) 거래소 항목별 영업수익 내역'을 보면 거래소는 지난 4년간 모두 1조3825억원의 영업수익을 올렸다. 이 가운데 거래수수료는 1조1366억원으로 집계됐다.
거래소는 수수료 인하 압박으로 2008년부터 자체적으로 수수료 인하를 추진했으나 2009년 감사원으로부터 추진내용이 부적정하다는 지적을 받은 이후 최근 수수료 인하를 추진하고 있다.
2009년 감사원은 거래소 감사에서 '거래수수료 인하유도 및 수수료 징수한도 설정'을 골자로 하는 수수료체계 개편과 관련한 시정조치를 통보했고 이에 거래소는 올해 9월에서야 수수료 체계에 대한 연구용역을 마쳤다.
이에 유 의원은 "거래소가 설립 이후 6년 연속 고수익과 고배당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의 부담을 줄이는 데는 소극적이었다"고 비판했다.
이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 이어 최근 금융위기가 재발하여 주가가 폭락하고 있는 만큼, 거래소도 수익의 일부를 과감히 수수료 인하에 투자하여 투자자들과 고통분담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역설했다.
![]() |
||
설립 이후 한국거래소 당기순이익 및 배당 현황 (억원, 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