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호남권 가계부채 증가율 37%로 전국최고

호남권 36.8%(전국 31.2%), 1인당 가계부채 증가율 호남권 35.8%(전국 27.7%)

김성태 기자 기자  2011.09.29 14:50:59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가계부채가 한국경제를 위협하는 최대뇌관이 되고 있는 가운데, 호남권의 가계부채 증가추세가 크게 우려된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이용섭의원이 한국은행 자료를 분석한 결과 호남권의 가계부채는 ‘07년 29.3조원에서 ’11.7월 40.1조원으로 36.8%나 증가하여, 전국 평균 31.2%를 크게 웃돌며 전국에서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 면에서도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07년말 대비 ’11.7월까지 호남권의 은행권 가계부채는 11.1% 증가한 반면 비은행권 가계부채는 70%나 증가하여, 은행보다 대출금리가 높은 새마을금고, 신협 등 비은행권 대출이 크게 증가했다.

이는 지역별로 비교하여도 가장 높은 수준으로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이자부담 증가가 다른 지역에 비해 호남지역이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주택가격 상승 등의 여파로 호남권 주택대출은 ‘07년 123조원에서 ’11.7 월 202조원으로 65%나 상승하였는데, 이러한 증가율은 다른 지역과 비교해보면 2~3배나 높은 수치였다.

다행스러운 것은 ‘11.7월 기준 호남권의 1인당 가계부채는 765만원으로 강원과 제주지역을 제외하면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07년말 대비 ‘11.7월 1인당 가계부채 증가율 또한 호남권이 전국 최고수준인 35.8%로 나타나 최근 악화된 가계사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용섭의원은 “1호남권의 가계부채는 은행보다 금리수준이 높은 비은행권 대출을 중심으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전체 가계대출 중 90% 정도가 변동금리대출로 이루어져 있어 금리인상시 가계 및 금융기관 모두의 재무건전성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는 만큼 미리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의원은 “가계부채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은 일자리를 늘리는 것이다. 호남권은 여타 지역에 비해 자영업자나 비정규직 취업자 비중이 높은 수준이므로 지자체가 고용의 양과 질을 개선하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