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광주광역시가 서울과 6대 광역시중 생계비가 가장 낮은 수준일 뿐 아니라 교육여건, 교통 및 대기환경 등이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맛을 대표하는 남도음식의 본고장이며, 인근에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춘 관광지가 산재해 있어 풍요로운 여가생활이 용이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교육.교통.문화.환경 등 여건이 탁월해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가 조사 발표한 ‘광주 생계비 및 정주여건 비교우위’ 보고서에 따르면 광주지역 4인가구의 생계비는 서울의 65% 수준으로 6대 광역시 중 가장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 4인가구를 초등학생.중학생 자녀 각1명, 25평형 아파트(자가소유)에 거주하는 것으로 가정해 생계비 수준은 비교한 결과 대구(69%), 울산(69%), 대전(71%), 부산(71%), 인천(73%)에 이어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또 광주지역 단신~3인 가구의 생계비는 서울의 63~67%(단신가구 63%, 2인 가구 67%, 3인 가구 65%)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4인 가구 생계비의 지출항목을 보면 주거비는 서울의 25%에 불과하며 자녀교육비는 81%, 이미용․목욕비는 77% 수준을 보였다.
서울.광주간 생계비 격차는 대부분 주택 구입관련 대출 이자비용 등 주거비 차이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주택구입자금을 전액 은행에서 대출받아 20년간 원리금 균등분할상환하는 것으로 가정할 때 광주 아파트(7월15일 기준)의 경우 현재 매매(전세) 시세는 평당 407만원(301만원)으로 서울 1,709만원(764만원)의 23.8%(39.4%) 수준 차이를 나타냈다.
광주지역의 정주여건을 보면 이 지역 학생들의 수능성적, 대학 진학률 등이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 후 학습 등 공교육이 활성화되어 있어 고등학생 사교육 참여율은 49.2%(2010년 기준)로 서울(64.9%)보다 15.7%p 낮으나 고등학생들의 수능성적 1~2등급자 비중과 4년제 대학 진학률은 6년 연속 전국 1~2위를 차지했다.
또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가 보통이상인 비중이 전국 최상위를 차지했으며, 교사 1인당 학생 수는 2008년 현재 20.8명으로 전국평균(18.3명)보다 많으나 서울(21.8명)과는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교통.대기환경을 보면 직장인의 출퇴근 소요시간이 전국에서 가장 짧았다.
광주 직장인의 출근시간은 평균 27.6분(2010년 기준)으로 서울(40.8분)에 비해 13.2분 적게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광주의 대기환경도 서울 등 여타 지역에 비해 양호했다.
한국환경공단이 산정한 2009년 중 전국의 통합대기환경지수(CAI)는 16개 시도 중 네 번째로 우수(서울 14위)했다.
2009년 중 미세먼지 농도는 1㎥당 46㎍(기준치 50㎍/㎥)으로 16개 시도 중 4번째로 낮은 수준을 보여 양호한 수준의 환경 속에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광주 의료여건은 서울에 비해 크게 뒤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종사자수는 2009년 현재 만 명당 56.5명으로 전국 시도 중 가장 높은 수준(서울 54.9명, 전국평균 31.6명)을 보였다.
입원진료 병상수도 2009년 현재 천 명당 13.53개로 전남, 경남 및 전북에 이어 4위(서울 7.58개, 전국평균 8.86개)를 기록했다.
특히 광주 건강지수가 16개 시도 중 최고 1위인 것으로 조사됐다. 건강지수는 ELIO(의료 컨설팅업체)가 지역별로 암환자수 등 건강상태(50%), 흡연·비만율 등 질병예방 성과(25%), 지역 내 의료기관 이용률 등 의료서비스 효율(10%), 의사·병상수 등 의료공급(15%)을 토대로 평가한 지수를 말한다.
그런가하면 2008년 현재 인구 십만 명당 광주의 체육시설은 112.4개소, 문화시설은 2.9개소로 서울(108.7개소, 2.8개소)을 비롯한 여타 대도시에 비해 뒤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KTX 개통시 서울~광주(296km)간 이동시간은 현재 2시간 40분에서 1시간 30분으로 약 1시간 단축.고속화되고 ‘아시아문화의 전당’이 완성될 경우 정주여건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광주지역의 저렴한 생계비가 지속될 수 있도록 소비자물가 및 주택가격 안정 등을 위해 다각적인 정책 방안을 강구하는 한편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 더욱 노력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