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국내 저축률 급락세…금융 위기 미국 닮은 꼴

노현승 기자 기자  2011.07.11 09:45:59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우리나라 가계저축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빠른 수준으로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8년 세계 경제위기가 심화되며 일부 선진국을 중심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금융보호주의'가 대두된 가운데 저축률이 빠른 속도로 낮아지면서 국내 경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 가계 부채↑ 저축률↓

   
가계 부채가 늘고 저축률이 하락하는 등 가계 건전성 그림자가 드리우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이는 금융보호주의 시대가 본격 도래할 경우 선진국 등쌀에 한국 경제가 타격을 받을 원인이 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경제전망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가계저축률(저축액/가처분소득)은 2.8%를 기록하며 전통적인 소비대국인 미국보다도 훨씬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미국은 지난 2008년 금융위기를 맞으며 저축률을 대폭 높였다. 2007년 2.1%에서 이듬해 4.1%로 올라섰고, 지난해 5.7%를 기록했으며 올해는 6%의 저축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우리나라 저축률은 2007년 2.9%에서 2009년 3.6%로 반짝 상승했으나 지난해 2.8%로 떨어졌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지난 6월1일 '가계저축률 하락의 원인과 경제적 파장'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가계저축률은 OECD 평균인 7.1%보다 크게 낮은 2.8%에 머물며 가계저축률 하락 속도 역시 OECD 국가 중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분석하며 우려할 만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동 연구소가 6월27일 발표한 '가계저축형태 및 자산구성 조사' 보고서 역시 한국 가계저축 실태를 여실히 드러냈다.

가계저축수준에 대한 조사 결과, 조사대상 가구 중 22.7%가 현재 저축을 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뿐만 아니라, 저축을 하더라도 소득 대비 저축이 부족하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가계의 소득 대비 저축수준에 대해 '조금 적다'와 '아주 적다'라고 응답한 가구가 각각 31.6%, 18.0%를 차지하는 등 전체 가구의 4.6%가 소득 대비 저축이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이는 전체 가구의 49.6%에 해당하며, 이들은 노후생활자금 부족을 가장 우려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보고서는 △근로소득 중심의 가계소득 증가세 둔화 △공적연금 확대에 따른 사회부담금 증가 △가계부채 증가로 인한 저축여력 감소 △고령화 진전 등 인구구조 변화 등을 가계저축률 하락의 근본 원인으로 제시했다.

◆미래 성장 잠재력 '안개 속'

저축률 하락을 초래한 원인에 따라 경제적 파급 효과도 다르게 나타난다. 

사회 부담금 증가로 인한 저축률 하락은 저축의 원천이 민간에서 공공으로 이전되기 때문에 부정적 효과가 상대적으로 적으나, 가계부채 확대에 따른 저축률 하락은 설비투자와 자본스톡 증가세 둔화를 초래해 경제 성장잠재력을 훼손할 우려가 크다.

보고서는 가계저축률 1% 하락은 경제성장률을 최대 0.15% 둔화시키는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가계저축률이 1% 낮아지면 총고정투자율이 0.36% 하락하고 GDP 대비 민간소비 비중도 0.25%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 보고서는 가계저축률의 추가적인 하락을 피하려면 가계부채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외에 사회부담금의 효율적인 운영 및 저소득계층의 소득안정 등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맥킨지 글로벌 연구소 리차드 돕스 소장은 지난 5월30일 '제1회 아시아 채권포럼'에서 "향후 금융시장에서는 저축률이 높은 국가들의 위상이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미국·영국 등 선진국 중심의 기존 금융 시스템은 크게 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각국 정부가 자국 금리 상승을 막기 위한 조치로 '금융 보호주의'가 확산될 것이라고 전망했기 때문이다.

금융 위기가 발생하자 자국의 금융회사와 기업을 살리기 위해 자국 은행 간 대출 등의 거래를 하거나 자기자본 확충을 위해 제3국 투자 자금을 환수하는 방식 등이 금융보호주의 정책이다. 결국 금융보호주의는 '자본 부족'을 뜻한다.

금융보호주의 대두 시 경제성장 둔화와 경기침체를 막기 위해서는 자국 저축 증대가 필요하다. 저축률이 높아지면 경제성장에 필요한 성장잠재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 자금상황이 활성화가 선행되면 기업 투자는 장기간 지속될 것이고 이는 고용증대, 가계 소비여력 상승 등 경제 선순환 시발점으로 작용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저축률 관련 변동 상황에 대한 관심과 관련 대책 준비가 요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