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한국GM은 27일과 28일 양일간 인천에 위치한 청라주행시험장에서 언론 및 친환경 분야 정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친환경 녹색 기술을 선보이는 ‘그린 드라이빙 데이’ 행사를 진행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쉐보레 볼트 및 크루즈 EV(electric vehicle) 시승을 비롯해 쉐보레 브랜드의 친환경 기술에 대한 컨퍼런스도 함께 개최됐다.
(좌측부터)한국GM 판매·A/S·마케팅부문 안쿠시 오로라 부사장, 기술개발부문 손동연 부사장, 유승권 상무. |
이어 그는 “올해 국내에서 쉐보레 볼트 실주행을 통해 소비자들의 인식 제고와 도로 여건 등을 파악할 것이다”며 “정식 출시까지는 정부의 지원이나 소비자의 반응, 인프라 구축과 같은 여러 검토단계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한국GM ‘그린 드라이빙 데이’ 질의응답 전문.
-쉐보레 볼트의 판매시점은 정부 보조금 문제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및 아시아 판매 시점을 언제로 보는가.
▲쉐보레 볼트 데모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를 통해 한국 정부에게 (볼트의) 우수성을 피력할 것이다.
판매 및 출시시점은 확정된 것이 없다. 소비자나 정부 등 의견 및 피드백에 따라 정해진다. 볼트의 판매에 대해 세부적인 것은 아직 시기상조다.
-최근 날씨 변화가 극심하다. 배터리의 경우 혹한 및 혹서기 등 날씨에 따라 성능 변화가 있는데, 볼트의 경우 어느 정도인가.
▲전기차는 외부환경 변화에 민감하다. 혹한에서는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 다만 혹서에서는 에어컨디셔너 작동으로 인해 배터리의 30~40%가량이 소비된다. 전체 배터리 성능을 봤을 때 온도에 따라 최하 70~80%부터 110%까지 성능 폭에 변화있다.
아무래도 화학성분이라 온도변화에 따른 차이가 있겠지만 쿨링팬 등 볼트의 경우 부가적인 장치를 바탕으로 셀에 성능변화가 적다.
-볼트의 경우 완속 충전이 120v, 급속 충전이 240v다.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220v인데, 충전 호환이 가능한가.
▲볼트 충전은 호환성 등을 고려해 개발됐다. 220v에서 충전시 4시간 정도가 소요된다.
-볼트와 함께 닛산 리프를 비교했다. 중장거리의 주행가능성이라던가 최대 주행거리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적 안정감 등을 장점으로 꼽았다. 리프는 24kWh 배터리로 160km, 대략 7km/kWh이고 볼트는 16kWh로 80km, 즉 5km/kWh다. 도심주행이나 단거리에서 전기 모터 효율성이 떨어진다. 중장거리에서 가솔린 35L로 530km를 가는 볼트는 토요타 프리우스(29.2km/l)에 절반 수준이다.
▲차체 중량이나 크기 면에서 닛산 리프는 소형차에 불과하다. 차량의 활용성이나 주행환경 등에서 볼트가 더 뛰어나다.
또 하이브리드와 연비 효율성을 비교할 수 없다. 볼트는 전기차로서 제로-이미션(zero-emission: 이산화탄소 등 배기가스 무배출)을 추구하는 친환경 차량이다.
-볼트는 LG화학 배터리가 장착됐다. 한국에서도 볼트가 생산될 수 있는가. 또 LG화학 이외 업체의 배터리 도입 여부는.
▲현재 타 지역에서 볼트에 대한 생산 계획은 없다. 볼트의 수요가 증대할 경우 긍정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LG화학도 미국 현지에 생산 공장을 증설하는 등 미국에서 생산되는 것이 주요 계획이다.
LG화학은 GM과 좋은 파트너쉽을 유지하고 있다. LG화학과 GM의 관계는 상당히 밀접하다. 다만, 국내에 뛰어난 기술력을 가진 중소업체들이 많기에 한국GM에서 일부 연구를 함께 하기도 한다.
-볼트의 수급물량이 어떻게 되는가. 또 전기차의 대중화에 문제는 가격인가 정부(보조금 또는 정책 등 종합적 정부입장)인가.
▲볼트는 미국에서 기대 이상 호응을 받고 있다. 점차 생산량을 늘려 2012년 4만대를 생산할 계획이다. 유통에서도 현재 (미국 현지)7개주에서 지속적으로 판매지역을 늘려갈 것이다.
전기차는 단순히 차량 판매가 되지 않는다. 많은 요소가 필요하다. 차량 A/S를 비롯해 인프라 등 고려한다면 많은 준비와 조사가 필요하다.
한국에서도 판매 적기를 고려하고 있다. 국내 판매에서는 소비자들의 심리가 가장 중요할 것이다. 국내 소비자 여론조사에서 동급 내연 차량보다 10~20% 정도 가격 폭을 가만할 수 있다는 반응이 조사됐다.
한국 정부와도 2015년까지 인프라 등이 논의되는 추세다. 하지만 최종 시점은 정부 보조금, 인프라 구축 등이 정의된 이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