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우리銀 이종휘 연임, 국민銀 이규징 논란 ‘데자뷰’

행장연임 가능성 놓고 민영화 추진 연속성 배경 복병 등장

임혜현 기자 기자  2011.02.17 16:07:23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우리금융이 지난 15일 지주 회장으로 이팔성 현회장의 연임을 택했다. 우리금융이 이처럼 회사의 미래 방향을 확정하면서 이제 차기 우리은행장 선출 문제로 관심사가 수평 이동 중이다.

현재 우리은행장 추대 문제는 우리금융의 지주회장 문제보다 훨씬 짙은 안개에 싸여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비고려대+비한일은행’ 출신이 선출 저울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종휘 행장은 연임에 대한 의지를 피력한 바 있으나 다른 유력 후보들의 대두로 차기 우리은행장 선출 문제는 아직 안개에 휩싸여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2월 들어서면서 부터 ‘이종휘 현행장 연임’ 가능성이 한 발 밀리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 회장이 지난 달, 우리금융 계열사 임직원 봉사활동에 참여한 뒤 기자들과 만나 연임 의지를 피력하면서 현 지도부에 의한 민영화 매듭론을 밝히면서 이종휘 행장의 연임에 무게감을 더했다.

결국 민영화 순항을 위해서는 이팔성 회장·이종휘 행장 지도부 카드를 폐기하기 어렵다는 풀이도 여전히 유효한 셈.

이팔성 회장은 당시 “기업은 지속 가능해야 하며(기존 경영진이)하던 일을 마무리 하는 것이 좋다”는 말로 연임의지를 우회적으로 표현했고 실제 이번에 연임행 티켓을 거머쥐면서 이 행장의 행보에 힘을 싣는 분위기다.

의미해석상 연임 가능 해석도

하지만 반대 이유도 만만치 않다. 이종휘 행장의 연임 불가의 주요 이유로는 조직에 활기를 불어넣자는 논리(물갈이론)와 함께 징계 2회 누적이라는 문제가 언급된다.

하지만 수석 부행장 시절인 2006년 성과급 지급 논란으로 징계를 받았고, 위험채권 투자책임 문제(일명 황영기 사태) 당시 박해춘 전 행장과 함께 징계 대상이 됐으므로, ‘동일 임기 중 2회 징계’가 아니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또한, 조직에 활기를 불어넣자는 주장에 대해서는 조심스럽게 접근할 필요가 제기되고 있다. 신한금융이 과거 최영휘 전 사장을 2년 만에 ‘강판’시킨 사정에 대해 라응찬 당시 회장이 소위 ‘팽’시킨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 바 있었고, 하나금융 역시 김승유 회장이 윤교중 전 부회장은 밀어낸 사례 등이 있어 명확한 판세 분석이 어려운 점도 있다.

그런 와중에 민영화 연속 추진을 주요 논리로 연임에 성공한 이 회장이 이 행장을 모른 척 하기는 구조적으로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 더욱이, 우리금융은 2009년 봄 이미 계열은행 행추위(행장 후보 추천 위원회)를 구성함으로써 신한지주나 하나금융처럼 지주회사 회장이 인사권 등 실권을 행사하고, 계열 은행장은 경영을 책임지는 지배구조를 갖추게 됐다. 이런 상황에서는 이 회장이 이 행장을 배제하고 자신만 연임을 하는 모양새가 연출되어서는 더더욱 곤란하다는 분위기를 무시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예보와 갈등 ‘필요충분’ 조건 인물

새 정부와 함께 취임한 이 회장은 이미 대주주인 정부의 입김에서 벗어나는 수완을 발휘하고 있지만, 그 전선 유지를 위해서는 이 행장 같은 인재가 필요하다는 문제도 남아 있다.

이 회장이 (비록 불발됐으나) 자체 역량에 의한 민영화를 추진한 저력은 익히 평가받고 있지만, 이 행장이 국민주 방식 등 여러 방식을 감안하자(지난 연말 인터뷰 발언)는 가능성을 열어두는 등 강력한 발언을 내보내며 이를 뒷받침하고 있는 점에 대해서도 높은 점수를 줘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 행장은 우리금융 민영화와 관련 김승유 용퇴론을 꺼내는 등 하나금융 등 타금융그룹까지 도발하는 모습을 보여, 이 문제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고 있다.

1998년 국민은행 이규징 사건 ‘타산지석’

이종휘 행장을 연임시키는 카드를 우리금융측이 택한다면, 우리금융의 대주주(공적자금 투입)인 예금보험공사와 민영화 추진에 필요한 적당한 긴장감을 유지할 가능성도 있다.

과거 국민은행은 이규징 행장 연임 문제로 감독 당국인 은행감독원과 긴장 관계를 조성, 필요한 ‘독립성 확보’에 배경으로 사용한 바가 있다.

정보사 땅 사기 대출 사건으로 경력에 흠집이 난 이규징(사건 당시엔 부행장)씨는 일단 정부가 행장으로 선출한 다음에 연임을 하게 되는 과정에서 은감원의 반발에 부딪혔다. 하지만 주요 은행들이 경영에 있어 독자성을 확보해 나가던 시기여서, 국민은행은 주요 주주인 정부도 아닌 은감원의 견제를 ‘이미 첫 행장 임명으로 치유됐다’는 명분으로 해체해 버릴 수 있었다.

주주를 등에 업은 감독 당국 견제냐, 현주주 입김을 막고 자체 민영화를 추진하는 구상이냐의 미세한 차이가 있지만, 주요 인사 임명에 들어온 견제 문제를 배제하고 정치 게임에서 오히려 우위를 점하는 수를 둘 여지라는 점에서는 국민은행 이규징 행장 연임건(1998년)이 이번 2011년 우리은행 차기 행장 선출 문제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