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Sketch
1) 유럽증시 분석 및 시황 소개
전일 유럽 증시는 약세로 마감했다. 유가 하락세와 함께미국내 휘발유 가격의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에너지 종목이약세로 마감되었다. 업체 소식에서는 리만 브라더스가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한 세계 최대 휴대전화 보다폰 그룹이 1.6%하락 마감했다. 캐나다 철강업체 도파스코 인수 합의 소식을 전한 독일 제철기업 티센크루프도 주가가 하락했다.
2)
미국증시
분석 및 시황 소개
미국 증시는 지난주 연휴 시즌을 상승으로 마감한 뒤 조정 매물의 유입이 이어지면서 하락세로 마감했다. 관심이 모아지던 연휴 시즌의 매출 실적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업체들의 할인 판매에 따른 수익성 감소를 지적하는 목소리와 함께 추수 감사절의 소매 판매 증가가 연말 랠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정도로 유지되지는 못할 것이며 일시적인 현상일 수도 있다는 우려감이 작용하면서 미증시에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특히, 전일 발표된 기존주택 판매 건수가 줄어들면서 기존주택 재고가 20년래 최고치를기록함에 따라 주택 경기 둔화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감이 촉발되면서 주류 투자자들이 기존 매수세에서 청산에 나서는 움직임을이끌었다. 전미부동산중개업자협회(NAR)에 따르면 미국의 10월 기존주택 판매는 연율 709만채로 애널리스트 전망치 717만채를 하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Vs Global Market
(1) 해외 통화 시장 동향 및 전망
통화시장에서 달러화가 주요 통화 대비 약세를 기록했다. 월말에
다가서면서 은행들의 매도세가 유입되었으며 최근 달러
매수 포지션이 누적되어 있음에 따라 주요 기관들의포지션
조정으로 달러의 낙폭을 크게 했다. 또한, 전일 발표된
미국의 주택 지표 둔화세와 함께 유로존의 금리 인상 가능성
소식도 달러화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등 전반적으로달러
약세 분위기에 무게가 쏠렸다. 전일 미국 재무부는 의회에
제출한 올해 하반기 환율 보고서에서 중국을 환율 조작국으로
지명하지 않았으나, 추가 위안화 절상을 위해 계속해서
압력을 가할 것이라는 보고서가 제출되었으나 시장에는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전일 티에리 브레통프랑스
재무장관은 유럽중앙은행(ECB)는 기준 금리를 25bp 인상할
것으로 보이나 이것이 통화 긴축 주기의 출발을 신호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경제는 금리 25bp 인상 정도는
용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으나 그것이 프랑스 경제인지
유로존 경제인지는 확실히 언급하지 않음에 따라유로존이
6년래 처음으로 금리 인상을 준비하고 있다는전망을
낳게 했다.
(2)
미금리 시장 동향 및 전망
채권시장은 주택지표의 부진으로 연준리의 금리 인상 중단에 대한 기대가 재확산되면서 오름세로 마감되었다. 장기물위주의 오름세가 이어진 전일 최근 채권 강세론자들이 주장하던 주택시장의 버블 붕괴로 인한 시장 둔화 그리고 이에 따른 경기 둔화 발생을 예상케 했다. 또한, 10월 판매는 허리케인 카트리나 피해 지역의 주택 매매 증가가 아니었더라면 보다 큰 폭으로 감소했을 것으로 지적됨에 따라서 주택 가치의 급락세가 소비지출 감소로까지 이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Global Summary
해외 금융 시장 전망주택시장의 수축에 따른 경기 둔화 전망감이 작용하면서울고 싶은 사람의 뺨을 때린 것과 같은 형상이다. 최근 누적된 매수 매물의 부담감과 추가적인 상승을 위한 조정을 예상케 한 기술적 움직임 등을 반영한 것처럼 조정 매물의 출회가 이어졌다. 전일의 뉴스 정도라면 기존 매수자들이 충분히청산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하는 보고서들도 유입되고있다.
최근까지 채권 강세론자들의 주장처럼 주택시장의 호황시장이 마감되고 둔화세를 보일 경우 소비지출이 둔화될것이며 이는 경기 둔화를 이끌 것이라는 예상대로 주택시장이 단기적으로 시장의 관심을 이끌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주 발표되는 주요 경제지표들의 발표 내용도 꼼꼼이 살펴봐야 하는 시점에 다가선 것으로 판단된다. 증시는 이번주초 소폭의 조정을 예상케 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상승추세가 훼손된 정도라는 아니라는 점에서 시장은 당분 조정을 예상케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반등은 어느 시점에서든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기술적 조정 폭의 확대 움직임을 주의깊에 살펴볼 필요가 있다. 외환시장은 전일 최근달러 매수 누적에 따른 일시적인 매물 출회의 가능성으로 인해 달러 낙폭이 과했다는 인식이 작용할 경우 전일의 움직임을 다시 돌려세울 가능성이 있어 보이나. 일단 전고점대의 가격대라는 점에서 달러화의 추가 하락 보다는 적정가격 찾기를 통한 달러화의 조정도 단기간에 가능할 것으로예상된다.
채권 시장은 최근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감이 계속해서 채권 시장을 받쳐내는 가운데 당분간 기술적 가격대의 안착을 시도하는 움직임과 기존 하락 추세에 따른 매도세가 공방전을 치룰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발표되는 경제지표들에 대한 반응도 예상보다 민감할 것으로 예상됨에따라 한주의 움직임에 대한 변동성 확대도 준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투자 의견 (12월물 기준)
품목 | 투자의견 | 지지대 | 저항대 |
E-mini 나스닥 |
중기 상승 추세 유지 15일선 지지대 작용 여부 테스트 |
1차 : 1684 2차 : 1678 |
1차 : 1698 2차 : 1702 |
E-mini S & P | 중기 상승 추세 유지
15일선 지지대 작용 여부 테스트 |
1차 : 1257 2차 : 1249 |
1차 : 1265 2차 : 1269 |
유로/달러 |
기존 박스권 돌파로 하락 추세 진입 15일선 지지대/33일선 저항대 작용 |
1차 : 1.1807 2차 : 1.1769 |
1차 : 1.1888 2차 : 1.1913 |
엔/달러 | 중기 하락 추세 지속
15분 저항대 작용 |
1차 : 8378 2차 : 8350 |
1차 : 8446 2차 : 8463 |
미국채 30년물 | 중기 하락 추세
단기 기술적 조정 반등 가능 - 매수 div. 발생 |
1차 : 113.02 2차 : 112.26 |
1차 : 113.23 2차 : 113.28 |
미국채 10년물 | 중기 하락 추세
일봉상 매수div. 발생 - 단기 기술적 조정 반등 가능 |
1차 : 109.040 2차 : 108.300 |
1차 : 109.170 2차 : 109.260 |
Issue Analysis
이번주 경제지표 발표
내용 (2005
11/28~12/2)
발표일 |
경제지표명 |
발표시간 |
예상치 |
이전치 |
발표치 |
28일(월) | 기존주택판매 - 10월 | 00:00 | 7,200,000 | 7,280,000 | 7,009,000 |
29일(화) | 내구재 주문 - 10월 | 21:30 | 1.5% | -2.4% | |
소비자 신용지수 - 11월 | 00:00 | 90.0 | 85.0 | ||
신규주택판매 - 10월 | 00:00 | 1,200,000 | 1,222,000 | ||
30일(수) | GDP(예비치) - 3분기 | 22:30 | 4.1% | 3.8% | |
시카고 구매관리자지수 - 11월 | 00:00 | 60.0 | 62.9 | ||
주간 원유 재고량 | 00:30 | ||||
연준리 베이지북 | 04:00 | ||||
12월1일(목) | 자동차 판매 - 11월 | 02:00 | 5,300,000 | 5,200,000 | |
트럭 판매 - 11월 | 02:00 | 7,100,000 | 6,200,000 | ||
주간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 22:30 | 335,000 | |||
개인소득 - 10월 | 22:30 | 0.5% | 1.7% | ||
개인지출 - 10월 | 22:30 | 0.2% | 0.5% | ||
건설지출 - 10월 | 00:00 | 0.5% | 0.5% | ||
ISM 제조업 지수 - 11월 | 00:00 | 58.0 | 59.1 | ||
2일(금) | 주당평균근로시간 - 11월 | 22:30 | 33.8 | 33.8 | |
시간당 임금 - 11월 | 22:30 | 0.2% | 0.5% | ||
비농업부문신규일자리수 - 11월 | 22:30 | 222,000 | 56,000 | ||
실업률 - 11월 | 22:30 | 5.0% | 5.0% |
* 경제지표발표 일정 및 내용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경제지표 내용을 확인하시거나 추이 그래프를 확인하시려면 www.krfutures.co.kr
통계/지표 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주간 행사 안내 - (괄호 안은 한국시간)
해외 주요 행사 (11/28~12/2)
<11월28일 (월)>
⊙ 일본 - 10월 소매판매 (오전 8시50분)
⊙ 파리 - 장-클로드 트리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채권포럼(29일까지)에서 연설 (오후 7시)
⊙ 미국 - 10월 기존주택판매 (오후 11시), 10월
건축허가건수 수정치
<11월29일 (화)>
⊙ 일본 - 10월 고용지표 (오전 8시30분), 10월
산업생산 (오전 8시50분)
⊙ 파리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경제전망 보고서 78호 발간, 기자회견 (오후 7시)
⊙ 미국 -
UBS발표 주간 소매판매 (오후 8시45분), 주간 레드북 (오후 9시55분), 10월 내구재주문 건수
(오후 10시30분), 10월 신규주택판매 (오후 11시), 11월 소비자신뢰지수 (자정),
10월 중서부제조업지수 (30일 오전 2시)
⊙ 워싱턴 - 기업인원탁회의(BRT), CEO 경제전망 분기 보고서 발표 (자정)
⊙
브뤼셀 - 개발도상국 G90 장관급 회의 (30일까지)
<11월30일 (수)>
⊙ 일본 - 11월
제조업 PMI지수 (오전 8시30분), 10월 주택착공 및 건설주문 (오후 2시)
⊙ 미국 - ABC/워싱턴포스트지 주간 소비자신뢰지수
(오전 7시), 주간 모기지마켓지수 및
리파이낸싱지수 (오후 9시), 3분기 GDP 수정치 및 근원 PCE물가지수 수정치, 3분기
기업수익 잠정치 (오후 10시30분), 11월 뉴욕전미구매자관리협회지수 (오후 11시),
11월 시카고 PMI (자정), 11월 켄터키연방은행 제조업지수 (12월1일 오전 1시)
⊙ 런던 - 윌리엄 풀 세인트루이스연방은행 총재
연설 (오후 10시45분)
⊙ 뉴욕 - 수잔 슈미트 비에스 연준리 정책이사 "북미 금융제도 컨퍼러스"에서 연설 (12월1일 오전
2시15분)
⊙ 워싱턴 - 연준리 베이지북 발간 (12월1일 오전 4시)
<12월1일
(목)>
⊙ 일본 - 주간 외국인 일본증시 순매수 규모 및 일본인 해외채권 순매수 규모 (오전 8시50분)
⊙ 미국 -
10월 개인소득·지출 및 PCE물가지수, 주간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오후 10시30분),
11월 ISM제조업지수 (오후 11시), 10월 건설지출 (자정), 11월 전미자동차판매 (시간미정)
⊙ 프랑크푸르트 - ECB
정책이사회, 금리 발표 및 기자회견 (오후 10시30분)
<12월2일 (금)>
⊙ 일본 - 11월
로이터 단칸지수(기업경기동향지수) (오전 8시30분)
⊙ 미국 - 11월 고용보고서 (오후 10시30분)
⊙ 룩셈부르크 - 장-클로드
트리셰 ECB총재, 룩셈부르크 금융포럼 참석 (오후 10시30분)
⊙ 워싱턴 - 앨런 그린스펀 연준리 의장, 필라델피아연방은행 정책
포럼에서 화상 연설 (오후 11시)
⊙ 런던 - G7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장 회의 (3일까지)
⊙ 필라델피아, 펜실베니아 - 앤서니
산토메로 필라델피아연방은행 총재·리차드 피셔 댈러스연방은행 총재,
필라델피아연방은행 정책포럼 참석
⊙ 보스턴, 메사추세츠 - 캐시 미네한 보스턴연방은행 총재, 뉴잉글랜드 정책 컨퍼런스에서
연설
⊙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 자넷 옐렌 샌프란시스코연방은행 총재, "미국 경제와 통화정책 전망" 주제로 연설 (3일 오전
4시)
www.krfutures.co.kr의 해외선물 시황란에 "모닝 브리핑"을 통해
전일 해외 시장에 대한 브리핑을 보실 수 있습니다.
투자 및 시황상담 : KR선물(주) 과장 남동완 (2168-7405(직통)), don@krfutures.co.kr
본 시황은 투자 고객을 위한 정보제공이 목적입니다.투자자를 위한 참고 자료이며 KR선물 및 정보제공자에게는 어떠한 법적인 책임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