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IR로 본 현대·기아차 ‘체질 개선안’

성장보다는 내실 위주 2011년 사업전략 수립

신승영 기자 기자  2011.01.31 17:44:52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지난해 글로벌 5위로 도약한 현대·기아차는 올해 내실 다지기에 집중할 방침이다.

지난 27일과 28일 이틀에 걸쳐 실시된 현대차그룹 계열사 기업설명회(IR)에서 나온 2011년 사업계획 내용에 공통된 점은 바로 기업경쟁력 강화였다. 이는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올해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현대차그룹은 ‘질적 성장’을 화두로 경영전략을 수립했다고 풀이된다.

   
2011년 현대차그룹 신년사의 정몽구 회장. 그는 이날 신년사에서도 그룹의 각 제품 품질 향상 등 경쟁력강화를 강조했다.
이미 지난 13일 신형 그랜저 발표에서 “미래 글로벌 자동차 시장은 4강·2중으로 새롭게 개편될 것이다. 현대차는 품질경쟁력을 바탕으로 4강 대열에 합류할 것”이란 현대차 양승석 사장의 발언에서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지난해 현대·기아차가 글로벌 탑(Top) 5 진입에 성공한 것은 실력도 충분했겠지만, 외적 호재들도 무시할 수 없다. GM·포드·크라이슬러로 대변되는 미국 빅3의 몰락과 글로벌 대규모 리콜로 휘청거린 토요타 등에 대한 반사이익을 배경으로 꼽을 수 있다. 거기다 글로벌 자동차시장의 호황이란 시기까지 겹치며 역대 최고 성적을 달성했다.

이렇게 외적 성장을 이룬 현대·기아차는 더 높은 목표를 위해 내실 다지기를 선언했다. 현대·기아차가 기업설명회에서 밝힌 경쟁력 강화 방안은 ‘수익성 극대화’로 요약된다.

먼저 중·대형 고급차 시장 공략과 글로벌 현지 시장에서 판매믹스의 그레이드를 높일 계획이다. 현대차의 경우 국내에서는 그랜저를 중심으로 한 내수시장 점유율 회복 의사를 이미 밝혔다. 미국에서는 지난해 19만여대를 판매한 쏘나타가 올해도 기본 볼륨모델로 자리매김하며, 제네시스와 에쿠스를 부각시킬 예정이다. 중국에서는 SUV 시장을 중점으로 공략한다는 입장이다.

기아차는 올해 국내에 K5 하이브리드를 통해 K시리즈 열풍을 이어갈 것이며, 중국·미국·유럽에서 K5와 하이브리드모델로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겠다는 계획이다. 출시 전부터 미국과 중국 등에서는 언론을 통해 K5에 대한 관심이 상당하다.

현대·기아차는 이윤이 높은 제품 판매 비중을 높이는 한편, 비용절감에도 나섰다. 지난해 현대·기아차는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슈퍼볼, 아카데미 시상식, 타임스퀘어 등 광고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한 껏 끌어올렸다. 더욱이 전 세계 유수 자동차 전문 기관으로부터 품질·디자인·안전성 등을 인정받으며 마케팅 및 판매 인센티브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올해도 그 비용을 더욱 낮춘다는 계획이다.

더욱이 지난해 이어 올해 국내외 출시될 신차들은 통합플랫폼이 적용됐기 때문에 생산비용에서도 절약할 수 있다. 현대차 러시아·터키 공장이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가며 기아차 미국 공장이 K5를 생산해 가동률을 끌어올릴 경우 제품 원가는 더욱 낮아진다.

또 해외 글로벌 공장들 간의 제품 포트폴리오 조정을 통해 비용절감에 나선다. 이미 현지전략차종을 중심으로 생산 라인업을 변경을 실시한 현대차 인도 공장은 지난해 판매 대수나 매출액 증가에 비해 수익성이 폭발적으로 높아졌다.

이외에도 현대제철, 현대모비스 등 주요 핵심계열사들은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해 현대·기아차에 공급할 제품의 비중을 높이겠다고 발표했다.

한편, 이 같은 현대·기아차의 행보에 일부 업계 전문가들은 “올해 현대·기아차의 질적 성장이 순조롭지만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들은 먼저 현대·기아차가 볼륨 목표를 낮춘 것은 외부 환경변화로 인한 제한된 선택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올해 세계 자동차 시장은 지난해보다 성장세가 둔화를 보일 전망이다. 거기다, GM·포드의 회복과 폭스바겐의 미국시장 재진입 등 글로벌 오토메이커들 간 경쟁심화가 예측되고 있어 볼륨확대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외 현대·기아차의 내부 문제도 체질 강화의 걸림돌로 꼽았다. 먼저 올해 현대차의 경우 임단협과 함께 타임오프제 시행에 대해 논의된다. 지난해 기아차는 비교적 순탄한 협의를 이뤘지만 결코 매끄럽다고는 할 수 없었다. 또 지속적으로 불거져 나오는 비정규직 근로자 문제는 사측과 대립을 넘어 노-노 간 갈등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3월까지 인수대금을 납부해야할 현대건설로 인해 현대차그룹은 생산시설 및 R/D 투자에 지출을 줄일 수밖에 없는 점도 부담감으로 작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