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휴대폰과 DMB 등 유비쿼터스 환경의 발전에 따라 개인정보 침해가 우려되는 가운데 자신의 정보를 누가 관리하는 지 확인할 수 있는 ‘u-프라이버시’ 환경이 구축된다.
기획예산처는 28일 정보통신 인프라가 급속히 확대, 발전함에 따라 개인정보 침해 사례를 막기 위해 정보보호체계를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개인정보 침해 피해 방지체계 강화
‘u-프라이버시’ 환경은 컴퓨터 등을 활용한 온라인 정보체계에서 특정 개인의 정보를 누가, 어떻게 어디에 보관하고 있는지를 당사자가 직접 파악하고 통제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 휴대폰 즐겨찾기 등 첨단정보서비스 이용에 따라 누출될 수 있는 개인정보 등 각종 부작용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사이버 공격 등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기획예산처는 내년 정보보호예산을 450억원으로 편성, 올해 363억원에서 24% 늘리고 2007년 498억원, 2008년 526억원, 2009년 550억원 등으로 계속 확대키로 했다.
국민 10명중 4명 개인정보 노출 불안
한편 우리나라 국민 2명중 1명은 향후 5년 안에 유비쿼터스 세상이 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가운데 개인정보노출에 대한 불안감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한 응답자가 39.2%로 나타났다.
지난 27일 한국전산원에 따르면 전국 15~59세 남녀 17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24%가 “2~3년 안에 유비쿼터스 세상이 올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5년 안에 올 것”이라는 응답도 30%를 차지해 절반 이상이 5년 내 유비쿼터스 시대가 열릴 것으로 예상했다.
이 가운데 유비쿼터스 서비스의 문제점으로 57.3%가 ‘높은 서비스 요금’을 지적했으며 39.2%는 ‘개인정보 노출에 대한 불안감’, 32%는 ‘서비스 불안정’, ‘서비스 속도의 느림’ 24.3% 등으로 조사됐다.
[프라임경제] ⓒ 경제의 맥을 짚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