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지난달 자동차시장은 해외와 내수 가릴 것 없이 성장세를 보였다. 국내 완성차업체들에게는 바로 ‘실적 및 기록 경신의 달’이었다. 여기에 앞장서야 할 현대차는 오히려 주춤한 모습을 보였다. 바로 현대차 사내하청노조의 울산공장 불법점거 때문이다.
지난달 15일부터 계속된 사내하청노조의 1공장 불법점거로 수출전략차종인 베르나와 신형 엑센트 공급이 중단된 상태다. 지난해 11월 2만여대 이상 판매된 소형차종이 올해 신차를 출시했음에도 수출 물량은 고작 8000여대에 불과했다.
이번 사태로 현대차가 입은 피해는 약 2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협력업체 및 관련 산업까지 고려한다면 그 피해액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일부 언론에서는 현대차와 비정규직의 대립으로 이 사태가 보도되고 있다. 하지만 내막을 좀 더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
사내하청은 합법적인 간접고용 방법으로, 300인 이상 대형사업장의 경우 약 40%가 사내하청을 운영하고 있다. 실제로 하청업체가 아닌 원청업체에서 직접 지시·감독 등을 실시하는 ‘무니만 사내하청’ 사례도 있지만, 현대차 사내하청의 경우 임금 및 근로조건 등이 웬만한 부품업체보다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공장을 점거한 이들은 현대차의 직접고용을 요구하고 있다. 하청업체의 경영진과 벌어야할 갈등이 현대차에게 직접적으로 번진 격이다.
자동차공업협회는 2일 협력업체와 연관산업 및 지역경제에 파급영향이 매우 심각하기 때문에 정부와 관계당국의 신속하고도 엄정한 법적조치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배포했다. 그만큼 이번 사안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현대자동차그룹은 현대건설 인수 문제까지 겹쳐있어 안팎으로 조용할 날이 없는 상황이다.
자동차 산업이 급성장 하고 있는 시대에 걸림돌이 돼서야 되는지 다시 한번 자신의 자릴 되돌아 볼 필요가 있는 시점이 아닌가 싶다.